상단영역

본문영역

포브스가 발표한 암화화페·블록체인 ‘2022 세계 억만장자’

암화화페·블록체인,1~19위 까지 순위
순자산 규모는 2022년 3월 11일 기준

  • Editor. 이호선 기자
  • 입력 2022.10.01 18:55
  • 수정 2022.12.26 12: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브스는, 암호화폐나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의 기업가와 투자자, 암호화폐 거래로 벌어들인 ‘투기가’ 등 지난해보다 7명 많은 19명이 억만장자가 등장했다고 소개했다.(사진=pixabay)
포브스는, 암호화폐나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의 기업가와 투자자, 암호화폐 거래로 벌어들인 ‘투기가’ 등 지난해보다 7명 많은 19명이 억만장자가 등장했다고 소개했다.(사진=pixabay)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2021년에는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상장되었으며, 일론 머스크의 배경으로 '도지코인'이 급상승하거나, 비대체성 토큰(NFT) 가 떠오르거나, 이더리움이 ‘Web3’시장으로 이동하는 등 암화화페·블록체인 시장은 급 물결을 타면서 요동치고 있다.

포브스는, 2조 달러 규모로 성장한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꾸준히 억만장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암호화폐나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의 기업가와 투자자, 암호화폐 거래로 벌어들인 ‘투기가’ 등 지난해보다 7명 많은 19명이 억만장자가 등장했다고 소개했다.

가장 큰 특징은, 거래소나 NFT 마켓 플레이스의 창업자가 위험을 감수하면서 처음부터 새로운 생태계의 기반을 만든 기업가들이 '보상'을 얻고 있다고 소개했다. 포브스의 자료를 참조하여 1위부터~19위 까지 순위를 알아본다. (순자산 규모는 2022년 3월 11일 기준자료)

1위. 창펑 자오

바이낸스(Binance) 650억 달러 암호화폐(crypto) 최고 갑부, 바이낸스 설립자이자 CEO인 "팡평 자오(CZ)"는 세계 19위 부자 순위에 올랐다. Forbes 는 그가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최고의 글로벌 플랫폼인 바이낸스의 최소 70%를 소유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작년에 이 회사 는 중앙 집중식 변경으로 처리되는 전체 거래량의 약 2/3를 촉진하여 160억 달러 이상의 예상 수익을 창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추정치를 바탕으로 포브스는 CZ의 자산 평가를 작년 19억 달러에서 상향 조정했다. 44세의 창평자오는 소량의 비트코인과 바이낸스의 기본 토큰인 BNB의 비공개 금액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낸스는 포브스에 이어 포브스 를 소유하게 될 모회사에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2위. 샘 뱅크먼 프라이드

트레이더가 트레이더를 위해 만든 코인 거래소 ‘FTX’는 240억 달러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공동 창업자 겸 CEO 샘 뱅크먼 프라이드이 2위에 올랐다. 2021년 후반에 홍콩에서 바하마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2222년 1월에는 미국 벤처 투자회사의 패러다임과 세쿼이아 캐피탈, PE기업 토마 브라보, 온타리오주 교원연금기금보다 320억달러의 평가액으로 4억 달러를 조달했다. FTX 주식의 약 절반과 네이티브 토큰 'FTT'를 70억 달러 이상 소유하고 있다.

3위. 브라이언 암스트롱

66억 달러의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의 공동 창업자 겸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 이 3위에 등재됐다. 2021년 4월에 평가액 1000억 달러로 IPO(신규 주식 공개) 현재는 시가총액이 상장시의 약 절반이 되었지만, 코인베이스의 19%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2222년 1월에는 1억 3300만 달러로 로스앤젤레스의 고급 주택지 벨 에어의 저택을 구입하고 있다.

4위. 게리 왕

FTX의 공동 설립자이자 최고 기술 책임자인 게리 왕(Wang)은 2019년에 뱅크맨 프라이드(Bankman-Fried)와 암호화폐 거래소를 시작했다. 왕은 FTX의 글로벌 비즈니스 지분 16%와 FTX의 기본 토큰인 FTT 가치가 6억 달러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MIT에서 수학과 컴퓨터 과학을 전공하고 암호화폐 분야에 뛰어들기 전에 왕은 Google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온라인 예약 플랫폼인 Google Flights 구축을 진행해왔다.

5위. 크리스 라슨

Ripple + XPR 43억 달러 미국 핀테크 기업 '리플(Ripple)'의 공동 창업자 겸 COO(최고 집행 책임자). 리플이 발행하고 있는 토큰 ‘XRP’의 암호화폐로서의 유통량은 현재 8위로 알려져있다. 신규 코인 모집이 무등록증권의 불법 모집·판매라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의한 소송에 대해 라센과 리플사는 부정행위를 부인하면서 소송자료를 준비하고 있다.

6위. 카메론 윙클보스와 타일러 윙클보스

카메론 윙클보스 타일러 윙클보스 쌍둥이 형제는 2012년에 비트코인을 구매하기 시작한 형제 는 이후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다른 암호화폐를 인수하고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나이(Gemini) 거래소를 출시했다. 이들은 작년 NFT 열풍의 수혜자인 디지털 미술 경매 플랫폼 Nifty Gateway를 소유하고 있으며, 2021년 10월 미술 수집가 Amir Soleymani가 플랫폼의 판매 조건을 변경했다고 비난한 소송의 논란 대상이 되었다. 현재 자산은 1인당 약 40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8위. 송치형

2012년 설립된 두나무(Dunamu)는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와 소셜 트레이딩 기반 주식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37억 달러의 기업가치가 있는 '업비트'의 창업자인 송치형 의장은 업비트의 모회사 '(두남)'의 주식 25%를 소유하고 있다. 2021년 11월 K-Pop에서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있는 음악 그룹 BTS 소속사 인 하이브가 두나무의 주식 2.5%를 보유하고있다. 미국 반도체 대기업 퀄컴도 이 회사의 주식 6%를 보유하고 있으며 두나무의 평가액은 170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9위. 배리 실버트

32억 달러로 미국 투자회사 디지털 화폐 그룹(Digital Currency Group) 의 창업자 배리 실버트는, 약 280억 달러의 암호화 자산을 관리하는 '그레이스케일(Grayscale)'과 암호화 자산에 특화된 미디어 이벤트 회사 '코인데스크(CoinDesk)'를 산하에 두고있다. 수많은 자회사를 통해 실버트(Silbert)의 DCG는 200개 이상의 암호화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암호화 이전에 실버트는 2015년 주식 거래 플랫폼 세컨마겟(Second Market)을 비공개 금액으로 나스닥(NASDAQ)에 매각한 투자 은행가이자 기업가였다. 2012년에 리플을 시작했지만, 공동 창업자인 크리스 라센과 대립해 2013년에 회사를 이탈한후. 리플과 맺은 분리계약을 준수하고 보유하고 있는 XRP의 대부분을 정기적으로 매각하고 있다.

10위. 제드 맥케일럽

맥케일럽(McCaleb)은 리플랩스(Ripple Labs)와 2012년에 공동 설립한 지불 중심 암호화폐 프로젝트인 XRP에서 대부분의 재산을 벌었다. 맥케일럽은 라센(Larsen) 및 다른 팀원들과 사이가 좋지 않아 2013년에 프로젝트를 떠났다. 그 이후로 맥케일럽은 리플랩스와 체결한 2014년 분리 계약을 준수하면서 XRP의 상당 부분을 주기적으로 판매했다. 그는 암호화폐(cryptocurrency) 스텔라(Stellar)의 창립자이자 최고 기술 책임자로 알려져있다.

11위.니킬 비스와나단과 조셉 라우

니킬 비스와나단과 조셉 라우는 2011년 스탠포드에서 만나, 블록체인 테카콘 알케미(Decacorn Alchemy), 비수와나단(Viswanathan) 과 라우(Lau)의 공동 창업자이다. 17년의 창업 이래, 알케미는 테크 대기업 어도비나, 분산형 거래소 ‘카이버(Kyber)’등, Web3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주요한 개발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2021년 10월에 자금조달 라운드에서 35억 달러의 평가를 받았고, 2022년 2월에는 102억 달러의 평가액으로 2억 달러를 조달했다.

13위. 데빈 핀저와 알렉스 아탈라

데빈 핀저와 알렉스는 NFT 시장의 초기 플레이어인 블록체인 스타트업 오픈씨(OpenSea)를 공동 설립했다. 오픈씨는 사용자가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생성, 구매 및 판매할 수 있는 P2P 플랫폼 역할을 하고있다. 2018년에 이 들은 Wi-Fi 핫스팟을 공유하기 위해 암호화폐로 사람들에게 비용을 지불한다는 아이디어로 Y 콤비네이션(Combinator) 가속기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컬트 추종자들을 끌어들이는 이더리움 운영 수집품인 크립토카타(CryptoKitties)를 발견한 후 그들은 작년에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초기 NFT를 위한 시장에 뛰어들었다.

15위. 프레드 에르삼

코인베이스(Coinbase)의 공동설립자 에르삼은 순자산 21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화한 투자 회사 '패러다임(Paradigm)'을 운영하고 있다. 패러다임은 지난 1월 미국 주식 거래 시장에서 가장 큰 시장 조성자 중 하나인 시타델증권(Citadel Securities)에 투자 했다. 34세의 에르삼(Ehrsam)은 2017년에 코인베이스를 떠났지만 이사회에 남아 있으며 여전히 회사 지분 6%를 보유하고 있다. 암호화폐를 발견하기 전에 에르삼은 골드막삭스(Goldman Sachs)에서 외환 거래자로 일했다.

16위. 김현영

김현영은 ‘업비트(Upbit)'의 모회사 '두나무'의 부사장으로, 2012년 8위 송지현과 공동으로 암호화폐 거래소 두나무을 시작한 뒤 암호자산 영역에 진출했다. 2017년에 개설한 업비트는 현재 800만명 이상의 유저가 이용하는 사이트로 성장하였고. 그는 업비트 주식 13%인 자산가지 19억 달러로 알려져있다.

17위. 마이클 세일러

마이클 세일러는 16억 달러의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마이크로스트레티지(MicroStrategy) 공동 창업했다. 1989년에 시작한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모바일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회사로 2020년에는, 수중 자금과 차입 자금의 약 11억 달러로 7만장 이상의 비트코인을 구입해, 주가는 지난 2년간으로 4배로 성장하고 있다.

18위. 매튜 로작

매튜 로작은 비트코인(Bitcoin) 14억 달러 암호화폐 채굴 블록체인 개발기업 '블록(Bloq)'의 공동 창업자 겸 회장이다. 2012년에 비트코인을 사기 시작해 초기의 이니셜 코인 오퍼링(ICO)에 참가. 2013년에는 ‘마스터 코인(Mastercoin) 등의 토큰을 매입한 것으로 화제에 올랐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나 크라켄의 초기 투자자로도 알려져 있다.

19위. 팀 드레이퍼

팀 드레이퍼는 비트코인(Bitcoin) 12억 달러 벤처 투자 회사 드레이퍼 피셔 저벳슨(DFJ)의 공동 창업자이며, 2012년에 비트코인을 구입해 2014년에는 불법 상품이나 서비스를 취급하는 악명 높은 온라인 시장 '실크로드'에서 압수한 토큰의 경매로 미국 연방 보안관으로부터 2만 9656장의 비트코인을 1870만 달러(1장당 632 달러)로 구입했다. 올해 초 드레이퍼(Draper)는 포브스 와의 인터뷰 에서 비트코인이 2022년 말까지 250,000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