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4차산업 인공지능㊿]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 현재 상황

하이퍼레저 패브릭 특징
모든 데이터가 공유 접근 가능한 블록체인 채널별로 관리되는 원장이 허락된 컨소시엄 기업들만 접근

  • Editor. 김맹근 기자
  • 입력 2022.08.31 0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 pixabay
사진 : pixabay

[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리눅스 재단이 진행 중인 하이퍼레저(Hyperledger) 프로젝트 중 하나로서, IBM 주도로 개발된 엔터프라이즈 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모듈식 아키텍처를 제공하여 합의(Consensus) 및 멤버십 서비스와 같은 구성 요소를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메인에 제한된 언어(domain-specific languages, DSL)를 사용하는 대신 범용 언어로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채굴을 장려하거나 스마트 컨트랙트 수수료에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지원하지 않는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 특징

신원관리는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액터(피어, 오더러, 클라이언트 등)들을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기반 X.509 디지털 인증서를 통해 관리한다. 해당 인증서를 통해 자산에 대한 권한 그리고 네트워크 내의 정보에 대한 엑세스 권한이 결정된다.

데이터관리는 여러 기업들 간의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모든 데이터가 공유되고 접근 가능한 블록체인은 데이터 관리 문제를 가질 수 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데이터 관리 문제를 해결하고자 채널별 참여 컨소시엄을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채널별로 관리되는 원장이 허락된 컨소시엄 기업들만 접근이 가능하게 했다.

또한 PDC(Private Data Collection)를 통해 같은 채널에 있더라도 프라이빗 데이터로 정해진 조직만 접근 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합의알고리즘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초기(버전 0.6) BPFT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나 성능상의 문제로 피어의 역할을 나누고 합의 알고리즘 처리 방식을 보증, 오더링, 그리고 검증 과정으로 새롭게 구성하면서 오더링 서비스에 메시징 프로토콜인 kafka를 지원하게 된다.

이후 버전 1.4부터는 leader and follower 기반의 Raft를 지원하고 있으며 버전 2.x부터는 Raft로 단일화하였다.

범용프로그래밍언어는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도메인에 특화된 언어 DSL을 사용하지 않고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스마트 컨트랙트 SDK는 Go, Node.js, Java 언어를 지원하며, application SDK는 Go, Node.js, Java, Python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해당 블록체인 솔루션은 생산 공정의 모든 부분에서 CO² 배출량과 공급망을 통해 배출되는 CO² 배출량 수치를 추적하는데 사용된다.

Car eWallet, 자동차 전자 결제 플랫폼은 ZF, UBS 및 IBM은 곧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자동차 전자 결제 플랫폼 Car eWallet을 공동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Car eWallet을 탑재한 차량은 전기차 충전소에서 자동으로 거래 금액을 결제할 수 있다. 무인 자동차의 경우 소유자나 사용자가 스스로 활동할 필요 없이 Car eWallet이 독립적으로 지불을 승인한다. 또한 네트워크의 각 참가자 정보를 안정적으로 변경 불가능한 데이터로 동기화한다. 동시에 사용자는 허용된 정보에만 엑세스 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