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4차산업 메타버스 51] “메타버스”… 산업 적용 핵심 기술 동향

메타버스 핵심요소 기술 동향
메타버스는 반도체, 사물인터넷, 5G, 클라우드, 실감 콘텐츠, 첨단 모빌리티 등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과 융합

  • Editor. 김맹근 기자
  • 입력 2022.06.23 08:15
  • 수정 2022.06.23 0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 pixabay
사진 : pixabay

[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 동일한 가상세계를 연결하여 디지털 세계에서 다양한 직업군을 가지는 사용자가 제조ㆍ금융, 물류, 유통, 사회·문화, 국방 등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메타버스의 핵심요소 기술은 가상세계, 증강현실, 일상의 디지털화, 그리고 거울 세계로 구분할 수 있다. 가상세계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실제 사용자가 접하는 모든 활동이 연결된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에 있는 물리적 객체에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디지털 데이터를 AR 디바이스를 통해서 화면 상에 보여준다. 일상의 디지털화는 사용자 간 현실 세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순간을 디지털 정보로 캡처하고 동시에 이를 서버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거울 세계는 현실 세계를 가능한 한 사실적으로 표현된 디지털 세계를 뜻한다.

메타버스 핵심요소 기술 동향

메타버스의 핵심요소 기술은 4가지로, 가상세계, 증강현실, 일상의 디지털화(Lifelogging), 그리고 실제 세상의 디지털화(거울 세계, Mirror Worlds)로 구분한다.

가상세계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실제 사용자가 접하는 모든 활동이 연결된 가상세계를 의미한다[4]. 가상세계는 가상현실 영역과 증강현실 영역이 포함된 영역으로서 현실 세계의 모든 정보를 디지털 세계로 확장하여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게 만드는 플랫폼이다.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3D 가상공간에서 현실 세계를 공유하여 확장시키는 것으로 제페토(ZEPETO)와 로블록스(ROBLOX)를 예시로 들 수 있다.

2018년 출시한 제페토의 서비스는 “제페토 월드”와 “제페토 스튜디오” 두 종류이다. 첫째, “제페토 월드”는 일종의 놀이터로서, 사용자가 3D 가상공간에 모여 게임, 교육 등 실감 콘텐츠를 즐기거나, 메시지를 주고받고 회의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06년 9월에 출시된 로블록스는 로봇과 블록을 합성해 만들어진 용어로, 컴퓨터, 콘솔 및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온라인 플랫폼이다. 로블록스의 핵심기술은 메타버스, 즉 사용자가 컴퓨터 생성 환경 및 다른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가상현실 공간을 구축하는 것이다. 실제 세계를 더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을수록 전 세계 사람들이 함께 놀고, 배우고, 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에 있는 물리적 객체에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디지털 데이터를 스마트패드, AR 글라스 같은 장비를 통해서 화면 위에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영화 “아이언맨 시리즈”에서 주인공 토니가 실제 세상을 보는 헬멧식 안경에 위험물, 기상 조건, 주변 상황 등 다양한 데이터를 가상스크린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상현실의 일 예이다.

증강현실은 주로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하거나 Varjo XR-3 HMD, MS 홀로렌즈2와 같은 안경처럼 생긴 See-through 기기를 통해서 구현된다. 증강현실 기반 메타버스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증강현실뿐만 아니라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기술까지 접목해야 한다. Varjo XR-3 제품은 지연 시간이 낮은 video pass through 방식을 사용하여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를 정교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상의 디지털화는 삶을 뜻하는 Life와 Logging의 합성어로 사용자 간 현실 세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순간을 텍스트, 영상, 음성 등 디지털 정보로 캡처하고 동시에 이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센서가 부착된 스포츠 웨어를 입고 유ㆍ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환경에서 스마트 안경을 착용하여 콘텐츠를 즐기면서 사용자가 달린 거리, 운동하면서 소비된 칼로리, 다른 사용자와의 영상통화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실제 세상의 디지털화는 현실 세계가 가능한 한 사실적으로 표현된 디지털 세계를 의미한다. 수많은 숙소 정보를 모아놓은 ‘에어비앤비’, 집에서, 회사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구글 어스(Google Earth)를 들 수 있다. 특히, 구글 어스는 세계전역의 위성사진을 전부 수집하여 일정 주기로 사진을 업데이트하고 시시각각 변하는 현실 세계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거울 세계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3D 가상공간이지만 3D 모델링/렌더링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처럼 느끼게 하는 3D 디지털 세상이다. 기존에는 3D 가상공간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큰 비용과 많은 시간을 투자했었다.

메타버스 플랫폼 동향은 로블록스, 제페토 등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은 현재 B2C 분야 중 게임산업, 엔터테인먼트산업, 사용자의 개인 생활 및 의사소통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외에도 제조, 유통, 금융, 부동산, 교육 등 수많은 전문 분야에 종사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메타버스 플랫폼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주로 3D 게임의 3D 가상공간 모델링 제작에 활용되던 게임 엔진인 Unity 및 Unreal 엔진 등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게임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개발자 생태계가 확장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메타버스는 반도체, 사물인터넷, 5G, 클라우드, 실감 콘텐츠, 첨단 모빌리티 등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경제생태계를 만들었다. 제조, 시뮬레이션, 유통,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됨에 따라 연동 가능한 제조산업ㆍ시뮬레이션ㆍ교육ㆍ금융 분야에서 인프라 수요도 나타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동하여 새로운 산업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신규 인프라 개발과 기존 산업 분야 서비스의 기술적 연계 시도가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