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일본 물류시장에는 날로 심화되는 저출산·고령화 여파와 열악한 근로환경 등 요인으로 트럭 운전자가 급감, 설상가상 '2024년 문제'로 수송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관건, 특히 라스트마일 드론 배송 등 자동화가 요구되고 있다.
드론 배송 실증
드론 배송 실증에는 먼저 검토 과제와 내용 및 대응 방식을 확정할 필요하다. 드론 배송에 필요한 기체 운용과 기능 요건 및 서비스 실용화를 위한 과제를 파악, 업무 내용을 사전 정의한 뒤 실제로 기체를 비행시켜 그 실현성과 효과를 검증한다. 실증시험 시 사전에 외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필요 운용 시스템 등 검토 과제를 확정하고, 각각 과제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함으로써 계량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실증시험 검토 과제, 내용 및 대응 방식
출처 : Hitachi Consulting, '第2回 ラストワンマイル領域におけるドローンを活用した配送業務'
실증 결과
히타치컨설팅은 실증 전 검토 결과를 토대로 실제 운용을 상정한 시나리오에 따라 기체를 비행, 드론 배송의 실현성과 효과를 분석한다. 주요 실증 내용은 ① 비행 계획 수립 방법 ② 탑재중량과 비행거리 ③ 배송 시 낙하 리스크 및 대응 방법 ④ 업무 운용 방법)에 대한 결과를 도출이다.
① 비행 계획 수립 방법은 기상 정보와 지형 정보를 분석해 경로를 설정하는 등 비행 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요건을 파악·예측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검증이다. 실증 결과는 비행 전 대상 지역의 풍속과 강우량 등 확인, 사전 설정된 경로가 비행 가능한 지 혹은 수정해야 하는지 판단에 도움준다.
② 탑재중량과 비행거리는 탑재중량과 비행거리를 파악, 무게가 얼마나 나가는 부품을 탑재하고 어느 무게까지 화물을 배송해야 하는지 검증이다. 실증 결과는 비행 전 운용 검토 시 요구되는 사양(스펙)에 맞는 기체를 투입해 탑재중량(1.0kg, 2.0kg, 3.0kg)을 변경해 가면서 한 바퀴 도는 주회(周回) 경로를 자율비행시켜 비행거리를 계측, 탑재중량과 비행거리에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한다.
③ 배송 시 낙하 리스크 및 대응 방법은 배송 시 '기체'와 '화물'의 낙하 위험을 예방, 낙하 후 대응 방법을 검증이다. 실증 결과는 실증시험 자체는 기체의 기능 확인이 주목적이지만 사고 발생 시 대응(관계 부처 등으로의 연락 등)까지 포함해 확인, 실제 운용에서의 대응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된다.
④ 업무 운용 방법은 사전 정의한 드론 배송 업무 흐름 가능성을 검증이다. 실증 결과는 배송 업무 운용 흐름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한 가운데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작업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화 및 매뉴얼 정비, 복수의 드론 기체를 관리·제어하는 기술 시스템 구축, 고객에 대한 서비스 방법의 구체화 등 필요한 것으로 파악한다.
향후 과제와 전망
드론 배송 업무를 사전에 정의하고 실제 운용을 상정한 실증을 통해 드론 도입 후 업무·운용 절차를 명확히 한 것은 큰 성과이나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 그러나 드론 배송은 밝은 미래가 기대한다. 대표적 과제로는 복수의 드론 제어를 위한 운항관리와 통신 확보, 추락 위험 방지 기술 개발, 사회수용성 제고, 제도적 지원 등으로 해결되지 않고서는 수익 창출이 어려운 것이 현실, 경제성 측면에서 배송 수량·범위 확대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 히타치컨설팅은 향후 드론 배송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한다.
첫째, 드론 배송 비용 효율성이 높은 낙도·산간 등 과소지역에서의 실용화가 먼저 진행된 후 점진적으로 대상 지역을 확대해 가는 형태로 발전한다.
둘째, 기존 물류의 연장선이 아닌 지역과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새로운 서비스로 진화한다.
셋째, 자율주행 레벨 4로의 비행을 목표로 할 경우, 실증 단계부터 파트너 제휴를 전제로 한 운용체제 검토·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