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한화 공식 채용 포털 '한화인'에 엔진시스템, 연소기 설계, 유도 및 자세제어 등 우주사업 10여개 분야에서 신입 및 경력 등 백명 이상의 '스페이스 허브 크루'를 모집한다고 31일 밝혔다.
신입은 8월 18일까지, 경력은 기한 없이 상시 채용한다. 신입사원과 경력직을 합치면 총 세 자릿수의 채용 규모다.
이번 선발 인원은 2022년 정부에서 발표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에 따라 2032년 달 착륙, 2045년 화성 착륙 사업에서 누리호 발사체, 위성서비스, 행성 탐사 등의 혁신적인 프로젝트 업무를 맡게 된다.
이번 채용을 통해 선발된 인원은 한화그룹의 ‘스페이스 허브 크루’가 된다. 스페이스 허브란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과 인공위성 제조회사 쎄트렉아이가 참여한 한화그룹의 우주사업 협의체를 말한다.
그룹 내 회사별로 진행해 왔던 우주사업의 핵심 기술을 한데 모으며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컨트롤타워를 만드는 계획이다.
스페이스허브는 지난 2021년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의 주도로 출범했다. 한화 측은 "허브는 각 회사 윗단에 있는 조직이 아닌 현장감 넘치는 우주부문의 종합상황실"이라고 스페이스 허브를 설명했다.
현재 스페이스 허브는 발사체, 위성 등 ‘제작 분야’와 통신, 지구 관측, 에너지 등 ‘서비스 분야’로 나눠 연구 및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우수 인력을 기반으로 우주 선진국과 기술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새로운 우주 사업도 선제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미래 우주인재 육성 노력도 강화한다. 한화 스페이스 허브는 KAIST와 함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우주영재 교육 프로그램 '우주의 조약돌'을 2년째 진행 중이다.
2021년에는 KAIST와 '우주연구센터'를 공동 설립해 저궤도 위성 통신 등 우주 기술 개발과 우주 인력 전문성 강화에 힘쓰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발사체 사업을 넘어 2032년 달 착륙, 2045년 화성 착륙이라는 정부의 '우주경제 로드맵'에 따라 우수 인재를 확보해 민관협력의 한 축을 적극 담당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