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스마트시티’로 불리며 세계 스마트시티 랭킹에서 싱가포르는 2019년~2021년 3년 연속 1위인 트리플 A(AAA)를 받았다.
싱가포르는 인구 560만 명에 서울시보다 조금 더 큰 면적을 가진 조그마한 도시 국가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의 평가 순위에서도 싱가포르는 세계 1위에 올랐다.
납세 절차 등도 온라인화, 의료에서도 대부분의 병원에서 온라인으로 진찰 예약을 할 수 있는 등 잇달아 새로운 공공 서비스가 디지털화되어 탄생하고 있다.
싱가포르 최상위 국가발전계획에 의거하여 개념계획(Concept Plan)은 도시재개발기구(Urban Redevelopmetn Authority)에 의해 수립되며 40~50년을 시간단위로 설정하여 전략적인 토지 사용과, 교통에 대한 장기 계획을 수립했다.
주요 목표는 시민들에게 양질의 생활환경을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하면서 국가발전을 위해 장기적으로 요구되는 토지 확보를 수립했다.
개념계획의 주요내용을 구체화하는 법정 실행 계획으로 마스터플랜(Master Plan)은 향후 10~15년 동안의 싱가포르 중기 개발을 구체화하는 법정 토지 이용 계획과 5년을 주기로 검토되며 개념계획의 광범위한 장기 전략을 토지 및 부동산의 용도와 밀도 등 개발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세부 계획으로 구체화 했다.
◇스마트네이션의 강점
스마트도시 해외사례 자료에서는 싱가포르는 2014년 부터 삶과 관련한 모든 측면을 디지털화하기 위한 광범위한 디지털전환 개념을 담은 스마트네이션 계획을 찾아볼수 있었다.
스마트네이션은 모든 사람이 모든 사물에 언제 어디서든 연결된다. ‘E3A’는 유비쿼터스 개념을 기반으로 등장했다.
스마트네이션의 구체적 방향으로는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 기회를 만들기 위해 경제 발전과 도시와 지역의 문제해결 커뮤니티 강화 등 세 가지 방향으로 계획 구체화 하였고, 핵심영역은 교통, 주거와 환경,비즈니스 생산성, 건강과 활력있는 노화, 공공분야 서비스로 구분됐다.
5가지 핵심영역의 디지털화를 위해 기술개발촉진 혁신환경조성, 디지털 역량교육을 세부 전략으로 추진하였고, 기술개발촉진 산업 분야와 연구기관의 협력과 연구개발 투자 집중로 테스트베드를 활성화하여 스마트 솔루션개발과 기술개발 촉진을 이루었다.
혁신환경조성으로는 오픈데이터 포털과 Smart Nation Platform(SNP)을 통한 데이터 통합과 공유 솔루션 시범사업과 개발을 위한 리빙랩 스타트업 생태계 육성 등 사이버 보안과 데이터 프라이버시 확보를 추진했다.
디지털역량교육 부분에서는 컴퓨터 역량 구축 어린이 중등학교 직업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수준의 교육프로그램운영 정부의 기술 솔루션 개발에 참여한 전문 데이터 과학자나 엔지니어를 초청하는 스마트네이션 펠로우십 프로그램으로 구성으로 진행했다.
◇디지털로 변화는 도시 싱가포르
싱패스(Singpass)는 디지털 정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민인증 시스템으로서 싱가포르 인구의 70% 이상인 400만 명이 등록되어있고 사용자는 싱패스 서비스의 이상을 모바일을 통해 활용 되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가 운영하는 무료 Wi-Fi도 찾아볼수 있다. ‘Wireless@SG’라고 하는 스티커가 거리 곳곳에 붙어 있어 원활하게 인터넷이 제공된다.
코로나 19 대응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모든 시민의 이동을 추적하고 데이터를 모으기 COVID-19를 위해 싱가포르의 모든 장소에서 사용을 의무화했다. 한국과 동일한 QR 코드를 이용한 방문추적 시스템도 운영되고 있다.
‘MYInfo’ 라는 제도는 씽패스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 정보를 온라인 양식에 자동으로 채울 수 있는 서비스로 관공서나 정부의 110개 기관과 90여 민간 서비스가 마이인포를 사용한다.
PayNow는 일종의 모바일 전자 결제 서비스를 말하는데 은행 계좌 번호 대신 수취인의 지정된 모바일 번호 PayNow , NRIC/FIN, UEN 번호 등을 사용하여 송금 거래가 가능한 전자 결제 서비스로 싱가포르 거주자의 70% 이상이 이용하고 있다.
SimplyGo 라는 비접촉식 요금 지급 시스템도 도입했다. SimplyGo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핸드폰 및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요금 결제 시스템으로 서비스 이용도는 매일 30만 회 이상 이용하고 있다.
LifeSG Initiative 제도는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순간 제공하는 서비스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초 출시된 Moments of Life는 6세 미만 자녀 가정을 위한 출생 등록 지원금과 신청 의료기록 확인 보육시설 조회 육아 조언 제공등을 실행하고 있다. 저 출산에 대비하듯 싱가포르 정부는 40개 이상의 공공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가족 육아 업무 고용, 의료 주거 재산 기타 자주 사용되는 디지털 서비스 편의를 제공한다.
학교-가정 원스톱 포털시스템인 ‘Parents Gateway’를 도입했다. Parents Gateway는 싱가포르 기술청 (GovTech) 과 교육부가 개발한, 학교 교사 가정 학부모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원스톱 포털서비스 개년이다.
그 외 스마트국가센서플랫폼(Smart Nation Sensor Platform; SNSP)으로는 스마트 주차시스템, 태양광 패널 스마트 쓰레기통, 스마트 도심 모빌리티, 주율주행 택시 등을 운영 도입하고 있다.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이처럼 싱가포르 정부는 스마트시티 지수 ‘세계 1위 싱가포르’는 도시문제해결을 위한 디지털 기술활용과 다양한 분야를 포용하는 스마트도시 추진을 위해 기관 통합, 정부 주도 사업 탈피로 인한 규제 및 사용자 주도형 혁신 장려로 시민의 관심을 사로잡을 수 있는 성공 사례로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