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디지털경제⑪] 인도네시아, 디지털‘인프라·정부·경제·사회’급성장

인도네시아 디지털 인프라, 디지털 정부 구축
인도네시아 디지털 경제, 디지털 사회

  • Editor. 이호선 기자
  • 입력 2022.12.18 18:03
  • 수정 2022.12.19 13: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어랑가 하타르토 경제조정 장관은 "인도네시아의 디지털 경제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으며 2021년 경제 가치는 약 700억 달러로 기록되며 2025년까지 14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사진=인도네시아 정부 웹사이트)
에어랑가 하타르토 경제조정 장관은 "인도네시아의 디지털 경제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으며 2021년 경제 가치는 약 700억 달러로 기록되며 2025년까지 14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사진=인도네시아 정부 웹사이트)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인도네시아는 2억 7000만 명 이상을 가진 세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젊은이의 수가 많아 생산 연령 인구는 총 인구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약 1억 9000만 명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향후 2025년에 눈부신 발전, 그리고 큰 영향력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영국‘이코노미스트’가 보도했다.

조코 위도드 인도네시아의 대통령은, COVID-19 팬데믹이 가져온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모멘텀을 활용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정보통신부(Kominfo)는 인도네시아의 디지털 전환 의제를 가속화하기 위한 2021-2024년 디지털 로드맵을 2021년 9월에 발표했다.

◇인도네시아 디지털 인프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포스트에 의하면, 인도네시아의 기존 디지털 인프라에는 224,573km의 지상파와 123,869km의 해저 광섬유 설치, 559,020개의 기지국, 그리고 5개의 국영 상용 통신 위성과 임대 중인 4개의 외국 통신 위성으로 구성된 5Gbps의 위성 용량이 운영되고 있다고 했다.

인프라는 인도네시아에서 디지털 변혁을 위한 핵심 인 에이블러로 인식되고 있으며, 정부는 2022년까지 10,000개 이상의 하위 지역에서 4G 인프라의 완성을 포함하여 특정 ICT 인프라 개발을 우선순위로 정하여 구축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는 고성능 다기능 위성(SATRIA-1)은 2023년에 7월에 발사 예정이며, 인도네시아 전역의 교육 시설, 지방 정부, 국방 및 보안 행정, 의료 시설을 포함하는 약 150,000개의 공공 시설에 서비스를 제공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변환을 지원하기 위한 ICT 인프라 개발은 국가 중기 계획(RPJMN 2020-2024)의 주요 프로젝트로 진행된다.

◇인도네시아 디지털 정부 구축

2018년에 정부는 전자 정부 시스템(SPBE)의 조항을 명시한 대통령 규정을 발표했다.

이 규정에는 예산 계획, 비즈니스 프로세스, 데이터 및 정보, 전자정부 인프라, 전자정부 애플리케이션, 전자정부 보안 및 전자정부 서비스를 포함한 여러 영역에 초점을 맞춘 전자정부 시스템을 위한 마스터플랜 개발이 포함되었다.

인도네시아는 ‘One Data Indonesia’ 이니셔티브에 따라 다양한 정부 데이터를 통합하고 통합하는 과정도 시행했다. 이니셔티브는 대통령 규정에 의해 공식화되었으며 중앙 및 지역 기관에서 공유할 수 있는 양질의 접근 가능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6~2024년 인도네시아의 연간 전자상거래 규모 및 성장률 추이와 전망.(자료=AIF)
2016~2024년 인도네시아의 연간 전자상거래 규모 및 성장률 추이와 전망.(자료=AIF)

◇인도네시아 디지털 경제 급성장

구글, 테마섹, 베인앤컴퍼니(2021)의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디지털 경제 잠재력은 2025년 1,460억 달러에 달하며 2030년에는 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는 인도네시아에서 디지털 경제의 잠재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강력한 디지털 결제 시스템과 디지털 뱅킹의 가속화에 의해 뒷받침 될 필요가 있음이 분명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국 6,400만 개 이상의 중소기업(MSME)의 디지털 온보딩에 초점을 맞추고 '디지털화 및 글로벌화'를 장려하고 있다. 정부는 2024년까지 3,000만 개중소기업디지털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또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 정부는‘1000개 디지털 스타트업의 세계‘ 운동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유니콘을 배출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데카콘' 1개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 스타트업 현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총 1,902개의 스타트업을 보유해 미국, 인도, 영국, 캐나다, 독일에 이은 세계 6위를 기록했으며,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 Financial Services Authority)은 상기 수치보다도 많은 2,100여 개의 스타트업이 인도네시아에 소재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수출 의존도가 낮아 국내 개인 소비가 비교적 왕성하다. 소비가 많은것이 경제를 뒷받침하고 있다는 증거다.

이러한 역동성의 근원은 '주로 디지털 서비스'로, 1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전자 결제부터 온디맨드 딜리버리 및 배차 서비스 앱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총 연간 800억 달러를 소비하고 있다고 한국무역협회 자료에서 찾아볼수 있었다.

그리고 천연 자원의 풍부함도 강점이 되고 있다. 특히 니켈의 매장량은 세계의 5분의 1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기 자동차의 공급 체인에서 세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니켈 관련 경쟁에서 유리한 포지션을 구축하려고 2020년부터 니켈 수출을 전면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국내 정제 증강을 촉진하고 또 전기차용 전지 제조업 육성으로 이어질 의향도 있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디지털 경제는 이미 전체 시장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고젝(차량공유), 토코피디아(전자상거래), 부칼라팍(전자상거래), 트래블로카(티켓팅), OVO(디지털결제) 등 5개 ‘유니콘‘ 기업으로 시장의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 최대 모바일 플랫폼 기업 고젝(GoJek)과 인도네시아 최대의 전자 상거래 회사 토코피디아 (Tokopedia)의 합병으로 탄생한‘GoTo Group’은 전자정부, 운송, 교육, 물류, 금융 서비스 및 통신을 포괄하는 슈퍼 앱을 개발하고 있다.

조코 위도드 대통령은 인도네시아가 금융 서비스, 산업, 엔터테인먼트 미디어(디지털 방송), 농업 및 어업, 교육, 건강, 부동산/디지털 도시에서 스타트업을 창출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디지털 사회

인도네시아 정부는 디지털 사회가 번영하는 디지털 경제의 기반을 형성한다는 것을 목표로 인식했다. 중산층을 중심으로 인터넷 사용이 확대되면서 최신 기술 사용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풍부한 디지털 문화를 향유하는 소비자 계층이 눈에 띄게 성장한 점도 주목할 만한 변화이다.

이에 정부는 3단계(기초, 중급, 고급) 디지털 인재육성 방식을 마련했다. 첫 번째 계층은 일반 대중에게 기본적인 디지털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목표는 1,250만 명의 인도네시아인에게 기본 디지털 기술, 디지털 문화, 디지털 윤리 및 디지털 안전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두 번째 계층은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사이버 보안 및 빅 데이터 분석과 같은 분야에서 중급 디지털 기술을 갖춘 최소 100,000명의 신입 졸업생, 기술자 및 전문직 근로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 번째 계층은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의사 결정자에게 고급 디지털 기술을 제공하며, 정부는 300명의 참가자를 교육 및 인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인도네시아는 향후 10년간 세계의 10대 경제권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12월 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인구 대국 "인도네시아는 2050년이 되면 세계 4위 경제대국으로 급성장" 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