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딜로이트는 가상 현실이 아시아 경제에 ”변혁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더 이상 공상과학이 아니라고 밝혔다.
컨설팅 업체인 딜로이트는 "아시아의 메타버스, 경제적 영향 가속화를 위한 전략" 보고서에서 2035년까지 8000억달러(한화 약 1060조원)~1조4000억달러(한화 약 1850조원)씩 늘어나게 될것이라 CNBC가 14일 전했다.
딜로이트는 "이는 전체 GDP의 약 1.3%에서 2.4%를 차지할 것이며 향후 5년에서 10년 동안 지속적인 기술 투자가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때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딜로이트는 ‘2035년까지 상위 아시아 경제의 메타버스의 잠재적 영향’ 으로 중국이 4,560억~8,620억 달러, 일본 870~1650억 달러, 인도 790~1480억 달러, 대한민국 360~670억 달러, 인도네시아 280~520억 달러로 늘어날것으로 전망했다.
딜로이트는 아시아 12개국을 대상으로 메타버스의 잠재적 영향을 분석했다. 둘리샤 쿨라수리아 딜로이트 전무이사는 아시아 지역 인구를 메타버스의 기여도 추정에 대한 근거로 제시했다.
쿨라수리아 이사는 “젊은이들은 오늘날 주로 메타버스에서 상호작용하고 참여하는 사람들”이라며 “전세계 청소년의 60%가 아시아에 살고 있다”고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밝혔다.
보고서에는 아시아에는 13억명의 모바일 게이머가 있으며, 메타버스 기술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지만 아시아에선 이미 수백만명이 포트나이트, 로블록스, 디센트럴랜드와 같은 인기 있는 가상 플랫폼에 시간과 돈을 쓰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중국은 지난 8월 메타버스 혁신 및 개발 계획을 발표했고 한국도 메타버스 산업 육성을 위한 청사진에 따라 1억771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보고서는 소개했다.
미셀 쿠 딜로이트 이사는 연결성, 스마트폰 보급률, 디지털 결제 시스템 채택과 같은 기술 기반도 메타버스 경제의 상태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쿨라수리아 전무이사는 "메타버스는 불가피하다"면서 "아시아에서 수조 달러 규모의 메타버스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 기술과 인적 자본 및 규제 프레임워크 등을 개발하면 산업과 경제 활동에 광범위하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