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프레전스(Telepresence) 로봇 및 휴머노이드 로봇의 성장
텔레프레전스 로봇은 원격의 장소에서 이용자가 로봇을 통해 보고 듣고 의사소통 할 수 있게 하는 로봇으로, 고정된 화상회의 시스템과 달리 어디에서 무엇을 보고 들을지 이용자가 통제할 수 있다. 직접적인 이동을 하지 않고도 즉시 원격의 장소에 존재할 수 있어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학교, 가정, 병원, 창고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하다. 대표적인 텔레프레전스 로봇인 미국 Double Robotics社의 Double 2는 모바일 보조 로봇으로, 사무실, 학교 캠퍼스, 소매점, 제조 시설, 박물관, 노인 보조 등을 위해 개발하였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과 닮은 외모를 가져 사용자의 수용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헬스케어와 교육분야에서 수요가 높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자폐아 치료, 암 및 뇌성마비 아동의 고통 경감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는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는데 이용된다.
Softbank Robotics社(일본)의 휴머노이드 로봇 페퍼(Pepper)는 인간의 얼굴과 기본적인 감정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사람들을 환영하거나 즐겁게 할 수 있다. Jibo社(미국)는 노인 보조를 위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제조하며, 에어버스社(네덜란드)는 위험하고 단조로운 작업을 수행하는 항공기 조립라인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배치할 계획이다.
로봇과 인공지능(AI)의 결합
AI 로봇 시장은 2018-2023년 사이 연평균 28.8%씩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iRobot社(미국)는 자동 먼지봉투를 갖추고 음성제어가 가능한 Roomba Vacuum과 인공지능을 이용해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잔디 깎기 로봇인 Terra Mower를 생산한다. Softbank Robotics社(일본)는 인공지능을 통해 청소 경로를 학습, 기억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 Whiz를 제조한다.
소니社(일본)에서 생산하는 로봇 강아지 아이보(Aibo)는 주인의 얼굴을 인식하며, 미소와 칭찬의 말을 감지하고 새로운 묘기를 학습한다. Boston Dynamics社(미국)의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아틀라스(Atlas)는 수색 및 구조에 활용한다. Hanson Robotics社(홍콩)는 AI를 이용해 자연어 의사소통, 얼굴 표정을 이용한 감정 전달이 가능한 로봇인 Sophia를 생산 중이다.
서비스로서의 로봇(Robot-as-a-Service) 비즈니스 모델의 성장
로봇 최종 사용자가 제조업체나 시스템 통합업체(System Integrator)로부터 로봇을 직접 구매하지 않고 로봇 서비스 공급자(RaaS 공급자라고도 함)로부터 로봇을 임대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성장하고 있다. 유연성과 확장성, 기존 방식보다 저렴한 도입 비용 등으로 인해 RaaS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큰 초기 투자비용 없이도 도입이 가능해 중소기업에서도 RaaS를 통해 로봇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Cobalt Robotics社(US)는 사무실 건물 순찰용 로봇인 Cobalt Robot을 다양한 회사에 임대하고 있다.
서비스 로봇 관련 특허 동향
세계 서비스 로봇 관련 특허 출원 및 등록 수는 매년 가파르게 성장 중이며, 2020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에서 약 28,000개 이상의 특허가 공개되었다. 2011년부터 2021년 사이 서비스 로봇 관련 특허 출원 수를 살펴보면 삼성전자, 퀄컴, IBM, 보잉, 인텔, LG전자, Ethicon LLC, Commvault Systems Inc., Applied Materials Inc., 구글 등의 순으로 나타나, 위 기업들의 서비스 로봇분야 혁신이 가장 활발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