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서비스 로봇은 4차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급 성장하고 있다. 새로운 응용분야인 물류, 의료, 교육, 농림, 우주, 엔터테인먼트, 가사 업무, 개인 및 노인 보조, 주택 보안, 건설 및 철거, 해양 분야와 유지보수 및 점검 분야에서 매우 유망한 시장을 가지고 있다.
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미국, 캐나다, 멕시코 기업은 11,595대의 산업용 로봇을 주문했는데 이는 2021년 1분기보다 28%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매출은 2021년 1분기 4억 6600만 달러(한화 약 6천40억 원)에서 2022년 6억 4600만 달러(한화 약 8천3백억 원)로 43% 증가했다. 수익은 43% 증가하여 6억 6,400만 달러에 도달했다.
미국 자동화발전협회(Association for Advancing Automation/A3) 의 산업통계 발표에 따르면 2022년 1분기에 판매된 11,595대 중 6,122대는 비자동차(일반 산업부문 기업) 고객에게, 5,476대는 자동차(자동차 제조사)고객에게 판매되었다.
전통적으로 자동차 로봇 판매가 비자동차 판매를 앞질렀지만 그 추세는 2020년 이후 처음으로 비자동차 판매가 자동차 판매를 앞질렀다.
자동차산업 내에서 자동차 OEM은 2021년 같은 분기보다 2022년 1분기에 15% 더 많은 단위를 주문한 반면 자동차 부품 회사는 22% 더 주문했다. 국제로봇연맹(IFR)은 이것이 전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추세를 따른다고 밝혔다.
2021년 예비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486,700개의 산업용로봇 이 설치되어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
자동화발전협회가 조사한 각 산업 부문은 2021년 같은 분기에 비해 2022년 1분기 로봇 판매량이 두 자릿수 성장을 보였다.
금속은 40%, 플라스틱 및 고무는 29%, 반도체 및 전자·포토닉스는 23%, 식품 및 소비재는 14% 증가했으며 기타 모든 산업은 56% 증가했다. 자동화발전협회는 기존 산업용 로봇에 대한 판매 데이터만 수집한다. 자율 이동 로봇이나 협동 로봇 팔에 대한 데이터는 제외 되었다.
국제로봇연맹 밀턴게리(Milton Guerry)회장은 이러한 성장세는 새로운 전기 자동차 를 위해 공장을 추가로 장비하거나 배터리 생산 용량을 늘리기 위한 투자라고 밝히면서, 향후 몇 년 동안 산업용 로봇에 대한 수요를 계속해서 창출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국제로봇연맹 사무총장인 수잔빌러(Susanne Bieller) 박사는 "모든 사람이 재택근무를 하고 새로운 장비와 IIoT(산업용 사물 인터넷) 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자 제품에 대한 수요 급증이 로봇 공학의 성장을 주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한국로봇산업협회가 발표한 ‘2020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를 보면 2020년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조 8658억원으로 전년의 2조 9443억원보다 2.7% 감소했다.
국내 전체 로봇시장에서 산업용 로봇이 차지하는 비중은 77%로 2018년, 2019년의 83.7%, 82.2%에 비하면 감소하고 있는 추세지만 세계 로봇시장의 56.5%와 비교해 보면 아직 압도적으로 국내에서는 산업용 로봇 비중이 높은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