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NFT를 둘러싼 이슈와 쟁점은 NFT 관련해 부상한 이슈 중 첫째는 지식재산권, 저작권과 관련된 이슈다. 디지털 자산이 NFT로 등록된 이후에는 정보가 투명하게 관리되고 있지만, 처음부터 NFT에 올라온 상품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현재 온라인상에서 IP를 허락없이 NFT로 등록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나이키, 에르메스는 NFT 마켓플레이스에 자사의 제품을 누군가 NFT로 만들어 소송을 하기도 했다.
둘째는 과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NFT가 의도했던 역할을 하고 있냐는 질문이다. NFT는 Web 3.0과 함께 플랫폼의 민주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를 받았다. 아티스트들이 디지털 예술품이나 음원을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NFT로 발행하면, 자신의 작품이 이를 배포하거나 스트리밍 해주는 플랫폼 기업의 독점적 헤게모니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기 때문이다. 즉 분산화된 네트워크에 저장된 NFT는 그동안 플랫폼 기업이 독점하던 시장 구조를 개선시키고, 창작자들에게 더 큰 보상이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각광을 받았다.
셋째는 NFT의 기술적 불완전성이다. NFT는 기본적으로 고유식별자와 메타데이터, 콘텐츠 등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아직까지 블록체인 안에 온체인으로 담기는 부분은 고유식별자 하나인 경우가 많다. 나머지는 용량 문제로 별도의 서버에 기록되곤 하므로 서버의 안정성, 신뢰성 문제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특정 서버에 파일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들이 이용하는 거대한 분산된 서버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효율성이나 처리 능력 등에서 보완되어야 한다.
아울러 NFT에 대한 해킹 이슈도 간과할 수 없다. 2022년 3월 엑시 인피니티는 5.4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해커 공격에 도난 당하는 등 기술적 측면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잖다. 그 외에도 NFT에 대한 과세 문제, 탈세와 불법 증여, 자금세탁 등의 법적 이슈도 존재한다. NFT화된 디지털 자산을 자전거래해 의도적으로 가치를 올린 사례와 NFT 모조품 등록으로 인한 저작권 이슈 등이 발생하고 있다.
NFT가 기대되는 이유
신기술의 확산 저변에는 버블과 비이상적 과열 현상이 동반되곤 한다. 업계의 증폭된 관심은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기도 한다. 가령 2000년대 초 닷컴 버블이 꺼지는 과정에서 수많은 인터넷 기업이 파산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인터넷은 하나의 범용기술(GPT, General Purpose Technology)로 자리잡았다. 오늘날 세상의 변화를 이끄는 기업도 이 버블과 함께 등장한 기업들이다.
2017년 과열되었던 가상자산 열풍도 코로나19 이후 투기 대상에서 투자 대상으로 변했으며, 다수의 기관투자자와 기업들도 가상자산을 자사 비즈니스와 연계하고 있다. 2022년의 NFT 또한 이와 비슷한 상황을 재연하는 것처럼 보인다. 가트너(Gartner)의 2021년 신기술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에 따르면, NFT는 현재 ‘기대의 최고조’ 단계에 위치해 있다. 이 시기에는 시장의 관심이 높으며, 성공과 실패 사례가 다수 발생하곤 한다.
어떠한 기술도 처음부터 100% 완벽한 기술은 존재할 수 없으며, 긴 세월 동안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사회에 안착한다. 올해에도 수많은 NFT 프로젝트가 등장할 것이고, 시장에서 끊임없는 실험 과정 속에서 NFT의 산업적 가치는 증폭될 것이다. NFT의 가능성과 한계를 인지하고 NFT가 촉발한 패러다임 변화를 직접 만들어 가야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