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철비즈온 이호선 기자] 국내외 40여개 기후단체가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삼성그룹이 그 명성에 걸맞게 기후위기 대응 수준을 높이고 글로벌 기후리더로서 선도해줄 것을 요청했다.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기후솔루션, 등 44개 국내외 기후환경 시민사회단체들은 지구의 날인 22일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해 삼성그룹의 주요 간부들에게 이같은 취지의 서신을 발송했다.
기후단체들이 삼성그룹에 구체적으로 요구한 것은 크게 3가지다. 첫째, 신규와 기존 석탄 관련 사업을 대상으로 모든 금융 자회사의 포괄적인 탈석탄 금융 정책을 수립해 달라는 것이다.
해외 주요 금융기관인 스탠다드차타드나 싱가포르개발은행 같은 글로벌 금융기관들처럼 구체적인 탈석탄 정책을 마련해 석탄 손절에 나서고 있는 것처럼 삼성 그룹 역시 파리협정의 기후 목표에 맞춰 석탄 관련 자산을 처분할 계획을 세우고 2050년까지 자산 포트폴리오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을 요청했다.
둘째는 삼성의 국내 공급망과 운영 과정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 달성을 주문했다. ‘RE-100’은 기업이 쓰는 전력을 전부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캠페인으로, 지난 2월 기준 구글과 애플, 제너럴모터스, 이케아 등 전세계 349개 주요 기업이 가입해 있다.
국내 기업은 에스케이그룹 계열사 8곳과 엘지에너지솔루션, 고려아연 등 14개 정도에 불과하다. 재생에너지 투자자들에겐 올바른 재생에너지 가격 지표를 제공하는 동시에 더 나은 전력시장을 조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은 바이오에너지 원료 사업을 철수하고 팜유 생산·무역 사업 확대 및 투자를 즉각 중단하겠다는 선언을 해달라는 것이다. 바이오매스 활용이 화석연료만큼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고 전 세계 곳곳에서 산림 파괴를 유발해 탄소저장 능력을 저해하고 생물다양성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기후단체들은 신규 바이오매스 원료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고 공급망 전반에 걸친 환경·인권 실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기후단체들이 삼성에 서신을 보낸 이유는 삼성이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기후환경단체들은 “삼성은 혁신과 지속가능한 미래의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거대한 잠재력이 있다”며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