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철비즈온 이호선 기자] 노르마 토레스 그린피스 국제사무총장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다량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한국이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책임과 역할을 다하도록 윤 당선인이 리더십을 발휘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노르마 토레스 국제사무총장이 지구의 날인 22일 윤 당선인 측에 기후리더십을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토레스 총장은 “대한민국이 지난해 말 유엔에 제출한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는 국제사회의 1.5도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대한민국에게 주어진 책임과 역할에 비해 매우 불충분한 목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2020년 한국의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북유럽 5개국과 네덜란드, 영국이 배출한 총량의 합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 책임을 상기시켰다.
토레스 총장은 한국이 과감한 기후행동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윤 당선인이 선거기간 탄소중립을 적극 추진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 석탄화력발전소 퇴출’과 ‘2035년 신규 내연기관 등록 금지’ 등을 약속한 것과 관련해 “시급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2030년 이전 석탄화력발전 퇴출과 내연기관 자동차 신규 판매 금지’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이 내세우는 원전 중심 정책에 대해서는 재검토를 촉구했다. 토레스 총장은 “한국이 이미 전 세계에서 원전 밀집도가 가장 높고 핵폐기물 처리 방안이 없는 상황에서 원전 중심 탈탄소화 계획은 현명한 선택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원전 대신 재생에너지를 더욱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그린피스는 탈탄소 산업구조로의 전환 과정에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정의로운 전환의 가치가 잘 지켜질 수 있도록 정권 인수 단계에서부터 잘 살필 것도 아울러 요청했다.
서신을 인수위 측에 발송한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장다울 전문위원은 “윤 당선인의 임기가 시급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골든타임이기 때문에 새 정부는 최신 과학적 분석에 기반해 과감한 탄소중립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이번 서한 전달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토레스 총장은 “당선인의 임기인 2022~2027년은 대한민국이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 과정에서 자신의 책임에 부합하는 역할을 해 되돌릴 수 없는 기후 재앙을 막는 데 기여할 것인지, 아니면 무책임한 기후 악당으로 남을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시간”이라며 “한국의 탈탄소화를 위한 당선인의 리더십은 5200만 대한민국 국민을 포함한 79억 세계 인류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