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2022년 ‘세계 상위 100개 브랜드’ 발표

브랜드 파이낸스, 연례 글로벌 500 보고서
1위는 애플, 브랜드 가치 3,351억 달러
삼성, 1,073억 달러 로 글로벌 톱 6 진입
틱톡, 지난해 대비 215% 빠른 증가

  • Editor. 최유진 기자
  • 입력 2022.11.23 12: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국의 컨설팅 회사인 브랜드 파이낸스는(rand Finance)는 연례 글로벌 500 보고서에서 2022년 가장 가치 있는 ‘세계 상위 100개 브랜드’를 발표했다.(사진=비주얼 캐피털리스트)
영국의 컨설팅 회사인 브랜드 파이낸스는(rand Finance)는 연례 글로벌 500 보고서에서 2022년 가장 가치 있는 ‘세계 상위 100개 브랜드’를 발표했다.(사진=비주얼 캐피털리스트)

[디지털비즈온 최유진 기자] 영국의 컨설팅 회사인 브랜드 파이낸스는(rand Finance)는 연례 글로벌 500 보고서에서 2022년 가장 가치 있는 ‘세계 상위 100개 브랜드’를 발표했다.

애플은 작년 보고서보다 35% 증가한 총 브랜드 가치 3,351억 달러 로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 순위에서 1위 자리를 유지했다.

2위아마존으로 브랜드 가치 3,503억 달러, 3위는 구글이 2,634억 달러, 4위는 마이크로소프트 가 1,842억 달러, 5위인 월마트는 1,1195억 달러, 6위로는 삼성이 1,073억 달러 로 글로벌 톱 6에 올랐다.

이는 2007년부터 매년 발간되는 글로벌 500대 기업 보고서 역사상 가장 높은 브랜드 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비주얼 캐피털리스트는 연례 글로벌 500 보고서의 최신 데이터를 사용하여 2022년 가장 가치 있는 100대 브랜드를 발표한 브랜드 파이낸스 자료를 시각화했다.

글로벌 500대 기업에 속한 나라들을 살펴보면, 미국이 50개 기업으로 제일 많았다. 다음으로 중국기업이 23개로 두번째로, 독일기업이 8개로 세번째로, 일본기업이 7개기업으로 네번째로, 다섯번째로는 한국은 삼성, 현대, LG 등 3개 기업이, 영국기업도 3개가 등재되었다.

세계 최대의 기술 회사 중 하나인 애플은 스마트폰 시장, 특히 현재 운영 중인 스마트폰의 50% 이상 아이폰이 미국에서 지배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주목할 만한 또 다른 브랜드는 틱톡이다. 틱톡은 브랜드 가치가 전년 대비 215% 증가하여 전체 목록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가 되었다. 2019~2021년 이 플랫폼은 사용자 기반이 2억 9,140만 명에서 2년 만에 6억 5,590만 명으로 급성장했다.

인사이더 인텔리전스의 예측에 따르면, 이러한 성장이 계속된다면 틱톡은 2025년까지 거의 10억 명의 사용자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부문별로는 100대 브랜드 중 3분의 1 이상이 기술 및 서비스 부문에 속한다. 이 범주의 브랜드 가치는 총 2조 달러이다.

자료에서는 미디어는 두 번째로 가치가 있는 부문이다. 상위 100개 브랜드 중 구글, 페이스북, 위챗 등 19%가 미디어 및 통신 부문에 속한다. 글로벌 팬데믹을 거치면서 미디어 소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21년 첫 9개월 동안 스냅챗의 일일 사용량이 77% 증가했다. 사용자의 관심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 세계가 다시 한번 관심 지속 시간을 놓고 경쟁하고 광고주가 경기 침체 불안으로 인해 앱을 유령화하기 시작했다.

상위 100개 브랜드 중 미국과 중국이 75개를 차지하고 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6개국만이 이 목록의 95%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무대에서 중국 기업의 성장세가 반영된 것이다. 10년 전만 해도 브랜드 파이낸스 100위 안에 든 중국 기업은 6개사에 불과했고, 브랜드 가치 상위 30위 안에 든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다.

반면, 유럽 국가는 목록의 13%만을 차지하는데, 이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유럽의 경제적 지배력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보여주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1960년대에 유럽은 세계 총 GDP의 거의 3분의 1을 차지했지만 2017년에는 16%로 떨어졌다. 덴버 대학 파디 센터(Pardee Center)의 예측에 따르면, 2100년까지 세계 GDP에서 EU의 비중은 10%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