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누리호 6월 15일 발사” 임박

누리호 6월 15일 나로우주센터 발사 예정

  • Editor. 이호선 기자
  • 입력 2022.06.08 14:55
  • 수정 2022.06.09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재로선 발사 일정에 특별한 무리는 없는 상황이면 6월15일 발사된다.(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현재로선 발사 일정에 특별한 무리는 없는 상황이면 6월15일 발사된다.(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누리호가 6월 15일 발사 장소인 나로우주센터에서 마지막 점검을 마치고 대기 중이다.

날씨 등 현장 사정에 따라 일정이 일부 조정될 수 있지만, 현재로선 발사 일정에 특별한 무리는 없는 상황이면 6월15일 발사된다.

누리호(한국형발사체-II)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KSLV(Korea Space Launch Vehicle) 계획에 따라 2022년 개발 완료 예정인 로켓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저궤도 실용 위성 발사용 로켓이다.

누리호 1차는 지난해 10월 21일 오후5시에 발사하여, 17시 15분경 탑재하고 있던 위성 모사체를 분리하였다. 성공적으로 고도 700km에 진입했으나 3단 엔진이 계획보다 46초 일찍 연소를 마쳐 위성모사체를 궤도에 올려놓는 데에는 실패했다.

1차 발사3단 엔진 조기 종료로 위성모사체를 궤도에 올리지 못한 누리호의 실패 원인이 밝혀짐에 따라 이번에 발사되는 누리호는 지난번 원인을 토대로 누리호 기술 보완을 위한 세부 조치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 일정을 확정했다. 헬륨 탱크 고정부와 산화제 탱크 구조를 강화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계변경과 보강작업도 마쳤다.

그동안 누리호는 1차 발사 결과에 따른 기술적 개선 조치를 마치고 1단 및 2단의 단간 조립을 완료하였으며, 1‧2단 내부에 추진기관 부품을 구동하기 위한 화약 장치를 장착하면서 3단에 성능검증위성을 탑재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을 해왔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는 누리호의 발사 준비 현황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점검하기 위해 나로호 우주센터에서 개최되었으며, 2차 발사를 위한 준비현황과 향후 발사까지 최종 준비 작업, 발사 조건인 기상, 우주환경, 우주물체 충돌가능성 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여 발사예정일을 6월 15일에 정하였으며, 기상 등에 의한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사예비일 을 6월 16일~6월 23일 로 설정했다.

정확한 발사시각은 발사 당일에 2차례 열릴 발사관리위원회에서 확정되며, 시간대는 지난 1차 발사(2021년 10월 21일 오후 5시)와 비슷하게 오후 3∼5시 사이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2차 발사 누리호에는 180㎏의 성능검증위성과 4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된다. 작년의 1차 발사 때는 실제 기능은 없는 1.5t짜리 모사체 위성인 더미 위성만 실렸다.

누리호 발사 후 성능검증 위성은 누리호에서 분리돼 600~800㎞ 사이 태양동기궤도에 안착하게 된다.

이후 내부 큐브위성 4기가 분리, 2년 동안 지구 대기 관측 자료수집과 미세먼지 모니터링, 초분광 카메라를 이용한 지구관측, 전자광학·중적외선·장적외선 다중밴드 활용 지구관측 등 각기 임무를 수행한다.

이는 내년 상반기로 예정된 누리호 3차 발사에 포함된, 1.5톤급 차세대 소형위성 발사 계획 성공 가능성을 점칠 중요한 기회가 된다.

과기정통부 오태석 제1차관은 “누리호 1차 발사 이후 누리호의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 기술적으로 보완하는데 국내 연구진과 산업체 관계자들이 전력을 다해왔다.”면서, “오늘 나로우주센터에 와서 누리호 발사 준비 현장과 성능검증위성 점검 현황을 직접 살펴보니 담당자들의 노고를 더욱 체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