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2050년 아시아 지역 ‘항공 모빌리티 45조원 신흥 시장' 생긴다

롤스로이스-롤랜드버거 공동 항공 이동성 시장(AAM) 시장 연구 발표
주요 도시 시장 예측 분석은 ?
서울, 도쿄, 싱가포르는 인프라 와 관광 산업 접근 가까워

  • Editor. 이호선 기자
  • 입력 2022.03.30 14: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Roland Berger)


2050년까지 아시아 지역에서만 항공 모빌리티 AAM(Advanced Air Mobility) 관련 45조원 수익창출과 새로운 신흥 시장이 생길 예정이다.

2050년에는 아시아태평양(아태)지역 첨단항공이동수단(AMM) 서비스 시장서 운항될 전기식 수직이착륙(eVTOL)기 규모가 전세계의 절반인 8만 2,500대에 이른다.

아시아 지역만 서비스 매출은 전세계의 40%인 369억달러(약 4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 지역 국가들은 2030년까지 1,000대 이상의 eVTOL 항공기를 보유하며 그 이전에 AAM 서비스를 구현하게 된다.

전세계 약 250개 항공기 제조업체가 미래 운송수단으로 주목받는 eVTOL기 시장을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롤스로이스-롤랜드버거(Rolls-Royce/Roland Berger)가 공동으로 항공 이동성 시장(AAM) 잠재력에 대한 시장 연구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서울 ,싱가포르, 도쿄 도시 지역은 APAC 지역이 도심, 교외 및 관광 명소를 더 가깝게 만들 수 있는 시간을 절약하고 더 편리한 여행을 제공함으로써 첨단 항공 모빌리티를 주도할 수 있음을 의미했다.

◇주요도시 시장 예측 분석은 ?

이번 시장 조사 결과는 아태지역의 상업적 잠재력과 이 지역이 어떻게 전기식 승객 서비스를 도입하는 데 앞장설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도쿄, 서울, 싱가포르와 같은 선두주자 도시들은 도시 인프라가 잘 발달 되어있고, AAM 생태계를 잘 구현하고 조정함으로써 이 흥미로운 미래 시장을 제공할 기회를 가지고 있다.

이미 아태지역에서는 AAM이 실현되고 있으며 선두주자 도시에서 흥미로운 파트너십과 항공사 활동이 발표되고 있다.

보고서는 2050년까지 일본에서 16,400대의 승객용 VTOL 항공기가 운영될 것이며 서비스 수익은 약 143억 달러에 달할 것이며 한국은 30년 이내에 38억 달러, 싱가포르는 3억 5천만 달러의 상업적 잠재력을 제공할 것으로 추정했다.

(자료=Roland Berger)


그는 자사의 상향식 시장 예측 접근법에 대해 “이용 사례 측면에서 우리는 승객 수송의 세 가지 영역, 즉 도심 택시, 공항 셔틀 서비스 및 도시 간 항공편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이동성 요구 및 패턴과 관련된 4개의 전형적 유형을 정의하고 아태지역에 있는 인구 10만 명 이상의 모든 도시를 분류했다.

다음으로 인구밀도, 면적, 1인당 국민소득 등의 요인을 연계하여 각 도시를 운항하기 위해 어떤 노선망과 비행횟수가 필요한지 분석했다. 보수적이지만 현실적이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도쿄, 싱가포르는 인프라 와 관광산업 접근 가까워

시장 보고서에 포함된 아태지역은 일본, 중국, 싱가포르, 한국을 포함한 25개국 및 시장조사 거점으로 주로 관광산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구성돼 있다.

보고서는 '플라잉택시'로 알려진 도시 및 지역항공이동에 사용될 승객용 eVTOL기의 이점을 조사했다. 여기에는 시내 택시 또는 공항셔틀 노선 및 최대 250km의 도시 간 비행 수요가 주 요인으로 포함됐다.

이 연구에서는 2050년까지 일본에서 약 143억 달러(약 17조 4000억원)의 서비스 매출을 발생시킬 1만6,400대의 여객용 eVTOL기가 운영될 것이며, 한국은 38억 달러(약 4조 6000억 원), 싱가포르는 3억 5000만 달러(약 4300억 원)의 상업적 서비스 매출 잠재력을 제공할 것으로 추산했다.

(자료=Roland Berger)


롭 왓슨(Rob Watson) 롤스로이스 사장은 “AAM시장은 점점 더 우리의 여행 방식을 바꿀 놀랍고 믿을 수 없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측에 따르면 아태지역 국가들은 2030년 이전에 AAM 서비스를 구현하며 2030년까지 1,000대 이상의 eVTOL 항공기를 보유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글로벌 롤스로이스전기 사업의 일환으로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전문 팀이 지원하는 eVTOL기와 전기식 단거리 이착륙(eSTOL) 및 전기식 고정익 통근 항공기에 대한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다.

스테판 브루닉 롤스로이스전기 전략책임자는 “아태지역에서는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나 이브 어번 에어모빌리티(Eve Urban Air Mobility))와 같은 회사에서 많은 eVTOL기 사전 주문이 이뤄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싱가포르에서처럼 위치와 경로가 발표됐다”고 말했다.

맨프레이 헤이더 롤랜드버거 수석 파트너 겸 항공우주 및 국방 책임자는 “아태지역에서 2050년까지 전 세계 AAM 항공기의 절반 이상이 상용화 서비스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