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웹(Web)3.0은 탈중앙화에 관련된 기술로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으며 웹 작동 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디지털 ID의 생성과 관리임. 웹3.0의 새로운 접근 방식은 향상된 보안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장 민감한 개인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신원 인증 및 관리에 대한 권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웹2.0에서 제공하는 중앙 집중식 인프라는 효율적이지만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음. 소비자는 자신의 디지털 ID를 소유하거나 통제하지 못함. 사용자의 ID는 ID 공급자(IdP) 역할을 하는 구글(Google), 애플 (Apple),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세계적인 기술 대기업이 발급, 소유 및 관리한다.
그러나, IdP가 보안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안 침해가 발생하는 사례가 나타남. 제3자 서비스 제공업체에 ID 확인 절차를 맡긴 경우, 누가 사용자의 데이터에 액세스 할 수 있는지 여부와 데이터가 보관되는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가 없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웹3.0의 디지털 ID는 중앙 집중식의 ID 관리 프로세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웹3.0 시대의 디지털 ID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탈중앙화 개념이다. 사용자는 기업이나 정부 등 중앙화된 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데이터와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익명성을 보장받는 동시에 현실 세계의 신원과 연결된 디지털 ID를 만들 수 있다. 웹3.0에서 디지털 ID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보안, 자유, 사생활 보호 원칙을 준수한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다양한 앱과 웹사이트에서 여러 계정과 암호를 관리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완전한 소유권과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ID를 안전하게 소유하게 됨. 이름, 주소 등 민감한 정보 공개 없이 자신의 신원을 보장할 수 있어 사생활보호 측면에서도 탁월한 강점을 가진다.
분산형 디지털 ID분야에서 주목 받는 스타트업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디지털 ID 생성 스타트업인 닷비트(.bit)는 웹3.0 애플리케이션 범용 ID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닷비트에서 신원을 설정하면 암호화폐 또는 NFT 지갑의 주소와 연결됨. 해당 지갑의 모든 데이터와 자산이 닷비트의 데이터 컨테이너에 보관되며 닷비트 페이지에 표시된다.
닷비트 사용자가 기존의 전체 35자 암호화폐지갑 주소 대신 ID를 사용하여 암호화폐 거래를 간소화하도록 지원한다. 출시 후 1년만에 38,000개 이상의 독립주소가 110,000개 이상의 닷비트 계정에 등록되었으며, 100개의 이상의 전자지갑과 디앱이닷비트와 통합되었다. 2022년 시리즈 A펀딩라운드에서 1300만달러(약172억원)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탈중앙화 디지털 ID플랫폼인 언스토퍼블도메인스(Unstoppable Domains)는 다수의 엔젤 투자자가 참여한 6,500만 달러(약 859억원) 규모 시리즈A 펀딩라운드를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등록되었다.언스토블도메인즈는 사람들이 암호화폐지갑의 사용자 이름을 생성하고 탈중앙화된디지털 ID를구축한다. 각각의탈 중앙화된 도메인 네임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NFT로 발행되어 소유자에게 더 많은 제어권과 소유권을 부여한다.
디지털 ID의 한계와 과제
디지털ID은 블록체인기술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위변조가 불가능한 데이터저장을 제공하는 분산형ID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중앙 기관에 의존하지 않고도 여러 웹3.0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서 자신의 ID를 생성, 관리 및 인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웹3.0 디지털 ID 솔루션은 복잡하고 파편화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관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이에 따라 언스토퍼블도메인스, 이더리움네이밍서비스(ENS) 같은 기업들이 디지털 ID 관리를 간소화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솔루션을 구축하기 시작함. 이러한 플랫폼들은 웹3.0 환경에서 디지털ID의 사용성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지만 단점과 한계도 있다.
고유한 사용자의 이름이나 도메인을 등록한 후 수익을 목적으로 재 판매 하는 사례에 대해서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행위로 인해 실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ID가 부족해지고 도메인의 가격이상승하게 될 수 있다. 합법적인 사용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디지털ID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며, 소수의사람들이 가장 수요가 많은ID와 도메인을 통제하고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여 탈중앙화의 핵심 원칙에 위배되는 문제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