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진화하는 금융 소비자의 기대와 소비 행태의 변화, 모바일의 대중화,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 변화하는 규제 환경, 점점 치열해지는 은행업계의 경쟁구도는 은행이 혁신을 주저하는 장벽을 무너뜨리고 있다.
오늘날 목격되는 은행 내·외부 환경의 거대한 변화는 은행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선택과 경험을 개선하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은행업의 본질을 뒤흔들 정도의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은행권은 디지털 전환을 원동력으로 은행 경쟁력의 전면적인 혁신과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적지 않은 은행들이 디지털 전환을 단순히 디지털 채널의 강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등 IT에 한정된 영역이라고 판단하는 듯하다. 사실 디지털 전환은 순수한 기술 혁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의미의 디지털 전환은 은행의 비즈니스 모델과 업무 프로세스 등 경영 전반을 디지털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최선의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 비즈니스 모델의 전면적인 개선이나 개발, 최적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모든 디지털 전환 전략은 은행의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배양하고 이를 원활히 하기 위해 기존 은행 밸류체인의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비즈니스 혁신과 결합되어야 한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우리는 금융회사가 아닌 기술회사’라고 선언한 골드만삭스가 좋은 예다.
은행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향후 은행의 미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핵심요소와 은행 생태계 변화로 발생할 기회의 단서를 제공하고자 향후 은행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뱅킹 메가 트렌드를 제시해야 한다. 귀하의 은행은 이러한 메가 트렌드를 얼마나 수용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