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비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사물들은 서로 간에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각자 고유한 역할을 수행한다. 근거리에 있는 사물들 사이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기도 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기도 한다.
사물인터넷에서는 인간, 사물 및 서비스 등 분산된 IoT 환경요소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장치들을 이용한다. 네트워크를 규모에 따라 분류하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은 집, 학교, 사무실 등 한 건물이나 수 킬로미터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컴퓨터 및 각종 기기들을 고속 전송 회선으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근거 리 통신망에 연결되는 장치에는 서버, 개인용 컴퓨터 등 각종 컴퓨터는 물론 프린터나 대형 하드 디스크 등의 공유자원도 포함된다.
다수의 근거리 통신망은 상호 연결될 수 있는데 같거나 유사한 종류의 근거리 통신망은 브리지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고, 다른 종류의 근거리 통신망은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의 기본 적인 구성 형태는 버스형, 링형, 방사형이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선 근거리 통신망 규격인 이더넷(Ethernet)과 무선랜(Wireless LAN) 규격인 와이파이(Wi-Fi)는 IEEE 802.3 계열 표준과 IEEE 802.11 계열 표준으로 개발되며 미국 표준 협회(ANSI) 산하 X3T 9.5 위원회에서 ISO 8802 계열 및 ISO 9314 계열의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중거리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과 원거리 통신망의 중간 정도의 지역을 포함하는 정보통 신망으로 일반적으로 근거리 통신망은 1개 기업의 구내 또는 1개 빌딩 내를 연결하는 데 비해 중거리 통신망은 도시의 한 구역 혹은 하나의 도시를 대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근거리 통신망들이 공유기라 부르는 라우터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라우터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기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기 사이의 최상의 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다른 네트워크 로 들어가는 관문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서도 연결이 가능하다. 라우터에는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성 환경에 따라서는 라우터가 게이트 웨이로 이용되기도 한다.
원거리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 또는 중거리 통신망을 다시 하나로 묶는 거대한 네트워크로서, 하나의 도시, 나라, 대륙과 같이 매우 넓은 지역에 설치된 컴퓨터들 간에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통신망이다. 원거리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서 공중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전용 회선을 연결하여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