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 혁신연구소’ 미래 혁신기술 선점

2022년 7월 1일 설립 연구소장 김대영 교수
디지털 전환 기술표준 공동연구및 기술확산
오픈소스기반 디지털전환 기술 모색

  • Editor. 이호선 기자
  • 입력 2023.02.16 15: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은 2022년 10월 13일과 14일 이틀 간 부산 벡스코에서 ‘디지털 대전환 콘퍼런스 부산 2022’를 개최하고, 김대영 (KAIST) 교수가 GS1 국제표준과 디지털전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디지털 대전환 컨퍼런스 부산 2022 유튜브화면 )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은 2022년 10월 13일과 14일 이틀 간 부산 벡스코에서 ‘디지털 대전환 콘퍼런스 부산 2022’를 개최하고, 김대영 (KAIST) 교수가 GS1 국제표준과 디지털전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디지털 대전환 컨퍼런스 부산 2022 유튜브화면 )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전 세계 주소는 문화와 환경이 다른 여러 국가의 현실을 반영하여 제정된 ISO 19160 국제표준을 따른다.

주민등록법에 의하면, 주소는 현재 거주하는 곳을 한정하며, 우편물과 택배 배달에서는 배달장소를 지정한다.

주소는 사람과 사람, 또 플랫폼간의 소통에서 뺄 수 없는 중요한 식별자로 인류의 역사와 함께 모습을 바꾸면서 발전해 왔다.

GS1(Global Standard #1) 국제표준기구이다. GS1 국제표준기구의 혁신 연구소인 “KAIST의 Auto-ID Labs”에서는 행정안전부의 시범사업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주소를 디지털주소인 GS1 GLN(Global Location Number)식별코드로 매핑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는 디지털전환국제기술표준(GS1)의 지역 확산으로 부산지역 기업의 국제경쟁력을높이고자, 다음과같이 한국과학기술원 오토아이디랩(Auto-ID Labs) 부산산학공동연구소를 지난 2022년 7월 1일 설립, 연구소장 김대영 교수이다.

혁신연구소는 시대변화에 적응하는 부산지역 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산업구조 지능화로 신(新) 산업 생태계 적응력 제고와 기업 지능화(AI+X) 역량향상을 위한 발 빠른 국제표준 보급으로 디지털 전환 기술표준 공동연구소(오토아이디랩) 유치 및 기술확산에 필요성에 중점을 두고있다.

혁신연구소는 국제표준 교육자료 개발, 콘퍼런스 및 세미나 등을 통한 지역 기업교육, 기업 방문연구원을 통한 서비스 공동 연구개발, 지역 기업․대학․기관 등과 협력을 통한 지역 기업지원, 해양, 물류, 수산, 헬스케어 등 지역 산업과 관련한 국책 연구개발 과제 추진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Auto-ID Labs 의 자문위원. (사진=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혁신연구소)
Auto-ID Labs 의 자문위원. (사진=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혁신연구소)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 혁신연구소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센터장 김대영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은 민간 국제표준기구 GS1(본부 벨기에 브뤼셀)의 국제공동연구소(전 세계 6개국)로 2005년 정보통신부 해외 우수 연구소 유치사업으로 설립된 국제경쟁력도 갖추었다.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은 KAIST 대전 본원 연구소, 서울 도곡캠퍼스 산학공동연구소, 부산 혁신연구소등 3개의 연구소를 주축으로 구성된다.

주요 연구 분야는 오픈소스(Oliot : Open Language for the Internet of Things)기반의 바코드, 전파식별(RFID),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전환 기술 표준이다.

부산시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에코델타시티), 행정안전부 주소체계고도화 사업, 해양수산부 수산물이력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운조선연계 사업 등 디지털 전환 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부산 혁신연구소의 중점 추진과제로는 국제표준 보급․확산을 위한 전문교육프로그램 운영, 기업 컨설팅 및 창업지원, 기업 지능화(AI+X) R&D 과제 발굴․추진을 한다.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 혁신연구소 주요 성과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혁신연구소와 부산광역시가 공동으로 지자체·산업계·학계간 소통을 통한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혁신성장 산업의 창출 동력을 목적으로 하는 컨퍼런스 '디지털 대전환 컨퍼런스 부산 2022' 을 2022년 10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벡스코에서 개최했다.

교육세미나도 개최했다. 산업표준분야의 우수한 인력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인 제1회 GS1 표준기술 및 오픈소스 실습을 2022년 12월 12일~13일, BIPA 교육장에서 진행했다.

방문연구원 프로그램도 참여했다. 부산대학교 교육학 박정현 박사는 GS1 국제표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연차보고서 및 뉴스레터 발간, 헬스케어 신규 프로젝트 기획을 하고있으며, 마이스부산 강석호 대표는 부산지역의 스타트업 생태계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역외 기업과 연구소 유치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혁신연구소는 GS1 표준기술 및 오픈소스 실습 교육자료 6건을 개발했다. 교육 주제는 ▲GS1 국제표준과 산업 ▲Object Name Service (ONS) 소개 및 실습 ▲스마트시티/ONS 디지털링크 적용 사례 ▲GS1 Digital Link 기술소개와 차세대 바코드 ▲EPCIS 2.0과 소개 및 실습 ▲CBV 2.0과 소개 및 실습으로 다양하게 구성 됐다.

또한 GS1 오토아이디랩 자문 위원회 구성 및 운영과, 2022년 10월 13일 테크체인랩스, 데이터젠, 오스리움, 와이와이 소프트, 넥스트데이티 5 업개 기업과 무협약 체결했다.

Auto-ID Labs와 랩7 산학협력 MOU.(사진=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혁신연구소)
Auto-ID Labs와 랩7 산학협력 MOU.(사진=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혁신연구소)

부울경 지산학 컨소시엄 업무 협약으로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항만공사,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HJ중공업(부산), 케이조선,대한조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부산), 한국선급(부산), KSS해운, 테크로스, 유엔젤, 케이엘넷, 중소조선연구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협동조합, 하이에어코리아, 한국해운협회 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Auto-ID Labs와 부울경 지산학 컨소시엄 업무 협약 기념사진. ((사진=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혁신연구소)
Auto-ID Labs와 부울경 지산학 컨소시엄 업무 협약 기념사진. ((사진=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혁신연구소)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부산혁신연구소는 부산 지역기업들이 글로벌 디지털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든든한 동반자이자 디딤돌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