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정유업계,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개발 추진”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 발표회’ 개최
정유업계 기술 실현 쉽지 않아…정부 지원 필요”

  • Editor. 조성훈 기자
  • 입력 2022.04.29 16: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정유업계는 28일 서울 달개비(컨퍼런스 하우스)에서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 발표회’를 개최했다.(사진=에스오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정유업계는 28일 서울 달개비(컨퍼런스 하우스)에서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 발표회’를 개최했다.(사진=에스오일)

[디지털비즈온 조성훈 기자] 정유업계가 2050 탄소중립을 위해 5대 감축 전략 및 20개 핵심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정유업계는 28일 서울 달개비(컨퍼런스 하우스)에서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산업부와 대한석유협회 공동으로 수립한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 발표를 통해 향후 정유업계가 탄소중립을 이행하기 위한 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

이날 참석은 산업부 자원산업정책국장, 대한석유협회 회장, 업계 임원(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학계‧전문가 등 15명 이 참석 하였으며 ▲건국대 박기태교수의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 ▲에너지기술평가원 한건우 온실가스 PD 의 탄소순환형 정유제품 생산 CCU 기술개발 사업, ▲에너지기술평가원 김성수 신재생융합 PD석유대체 원·연료 기술개발 추진방향 으로 진행되었다.

정유업계 탄소중립 지원을 위해 올해부터 추진 중인 ’탄소순환형 정유제품 생산 CCU 기술개발 사업‘ 소개 및 2023년 이후 본격 추진 예정인 ‘석유대체 원·연료 기술개발 방향’에 대한 발표도 진행됐다.

건국대학교 박기태 교수는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에서 정유업계 2050 탄소중립을 위해 5대 감축 전략 및 20개 핵심 기술을 소개하고 기술 수준별 기술개발, 실증연구, 상용화 단계로 구분해 2050년까지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제시했다.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 개요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 개요

에너지기술평가원 한건우 온실가스 PD는 2022년 신규사업을 통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기술 중 하나인 CCU 기술을 정유 업종에 본격 적용함으로써 정유공정 배출가스 포집 및 포집 CO2를 활용한 정유제품 및 석유화학 원료 생산 기술 등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에너지기술평가원 김성수 신재생융합 PD는 “수송 분야 탄소중립의 핵심은 석유대체연료에 있으며 2023년 차세대 친환경 바이오연료 생산 기술 개발 사업을 시작으로 바이오원유·선박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석유대체 원·연료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석유협회 정동채 회장은 정유업계를 대표해 “정유기업들도 탄소 감축에 기여하는 다양한 감축 방안을 모색 중이나 CCUS 등 기술 실현은 쉽지 않은 상황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산업부는 이번 ’정유업계 탄소중립 로드맵‘을 토대로 향후 정유업계와 주기적으로 소통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탄소중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산업부 유법민 자원산업정책국장은 “장기적으로 탄소중립이라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유업계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은 향후 정유업계가 나아갈 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산업부는 올해부터 다양한 R&D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탄소중립 달성에 필요한 핵심기술들을 점진적으로 상용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