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1년이 지나고 있지만 일본산 농수축산식품의 방사능오염은 지속되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이 2021년에 실시한 일본 내 식품 방사능 검사를 분석한 결과 방사성물질 세슘이 농수축산식품의 다양한 품목에서 방사성 물질 오염과 그 피해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일본 정부의 외교적 노력으로 후쿠시마 식품에 대한 규제를 하던 국가들이 점차 규제를 풀고 있으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이 후쿠시마 식품이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

우리나라가 수입 금지 조치를 실시하고 있는 수산물의 경우에도 후쿠시마 현 포함 주변 8개현의 세슘 검출률이 그 외 지역보다 4배 높아,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금지 조치를 계속 유지하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입금지 조치는 유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은 24일 2021년의 후생노동성 식품에서의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분석한 '일본산 농수축산물 방사능 오염 실태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21년 총 4만1272건의 농·수·축산 식품을 대상으로 방사성물질 세슘에 대한 검사를 진행·발표했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는 방사성 물질로 인한 식품 오염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2021년 검사건수는 2020년 대비 약 1/3로 감소하는 등 일본 정부가 자국 내 식품의 방사성 물질 오염에 대한 감시를 소홀히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식품 종류별 방사능 검사결과를 보면, 수산물은 3.8%, 농산물은 18.7% 축산물은 1.7% 야생육은 25.1%, 가공식품 6.3% 유제품 0.5%에서 방사성물질(세슘)이 각각 검출됐다.
일본 현지 수산물 가운데 방사성물질 세슘 검출이 높게 나타난 품목은 우럭으로 270Bq/kg이 검출되었고, 곤들메기, 산천어, 잉어, 브라운 송어 등 민물고기에서 주로 세슘이 검출되었다.

여전히 버섯류와 야생 조수에서 높은 수치의 세슘이 검출됐고, 후쿠시마 현을 포함한 8개현의 방사성 물질 검출률이 그 외 지역보다 높게 나오고 있다.
수산물의 경우, 전체적으로 세슘의 검출량과 검출률이 줄어들었으나, 세슘이 검출된 해수어의 종류가 늘어나는 등 안정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육에서의 검출률과 세슘의 오염도가 줄어들었다. 그러나 여전히 방사성물질 오염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슴고기는 최대 740Bq/kg까지 세슘이 검출됐고, 구리꿩고기는 140Bq/kg, 흑곰기는 120Bq/kg로 뒤를 이었다.

체르노빌 핵발전소의 경우 사고가 일어난 지 30년이 지났어도 스웨덴의 멧돼지에서 39,706Bq/kg이 검출되고(스웨덴 방사선 안전관리국 2018년) 있는데, 후쿠시마 현의 야생조수의 조수의 검사결과를 보면 일본 정부의 검사 결과에 신뢰성이 의심된다.
가공식품은 곶감에서 210Bq/kg, 반건조감 200Bq/kg, 건송이 160Bq/kg의 세슘이 검출됨. 전체적으로 기준치(100Bq/kg) 이하로 검출되었다.
전체적으로 검출되는 세슘의 양은 줄어들었으나, 검출되는 식품의 품목이 다양화 됨을 알수있었다.
후쿠시마 현 농수산물을 적극적으로 소비하려는 일본 정부의 노력에 의해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원재료의 유통이 늘고, 그로 인해 가공식품에서의 세슘 검출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시민단체들은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식품의 방사능 오염을 인정하지 않고, 모든 것을 '풍문 피해'로 매도하고 있지만, 원전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다면 검출되지 않을 방사성 물질이 여전히 높은 비율로 검출되고 있고, 일본 식품 기준치를 넘어서는 세슘이 검출되는 식품의 품목이 많은 점을 감안할 때 일본 정부의 주장은 거짓이라고 주장했다.
시민단체는 그러면서, 일본 정부에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출 계획을 추진을 중단하고, 방사성 물질 오염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우리 정부와 국회는 방사성 오염수를 바다에 버려 해양 생태계를 오염시키려 하는 일본정부에 맞서 적극적인 대책 마련해야 하며, 새 정부는 취임 후 일본 정부와 외교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기로 수산물 수입 규제 조치를 거래하는 일도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