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급격한 도시화로 인구와 자원 소비가 도시에 집중되면서 교통혼잡, 환경오염, 물 부족, 범죄증가, 에너지 부족과 같은 각종 사회문제가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관심을 기울이며 도입하고 있는 것이 바로 스마트시티 이다.
인공지능(AI), 5G,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도시 인프라와 유기적으로 연계해 적용하는 실험이 곳곳에서 진행 중인데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얼마나 잘 녹여내느냐가 스마트시티의 향후 성패를 좌우할 것이다.
물론 국가마다 경제발전 수준, 도시 상황과 환경이 다르다 보니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는 접근전략에도 차이가 있다.
미국의 경우 스마트팀챌린지 프로그램을 통해 지자체와 민간기업의 협력을 이끌어내며 도시에 적용 가능한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전 세계 도시에 확산하고 있다. 영국은 인구증가와 교통문제로 골 머리를 앓고 있는 수도 런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데이터와 ICT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스마터 런던 투게더(Smarter London Together)' 계획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어떨까?
도시화율이 80%를 넘어서 세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는 우리도 예외일수는 없다. 한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기술을 활용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여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스마트시티를 정의하며 본격적인 사업에 돌입하였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는 전국을 대상으로 후보지를 검토한 끝에 지난 2018년 1월 부산과 세종을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선정하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도시가 완벽하게 결합하는 시범적인 스마트시티를 만들기 위해 민간의 혁신총괄기획자(MP)를 중심으로 전문가들이 구상과 기획을 맡고, 민간기업이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하며 참여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 공간을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더 편리하고, 더 안전하고, 더 쾌적한 곳으로 만든다고 하니 기대가 커지는 만큼 우려가 되는 것도 사실이다. 빅데이터와 정보를 어떻게 공유하고,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사이의 균형은 어떻게 맞출 것인가와 같은 문제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선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고 우리 사회가 합리적으로 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시점이다. 대한민국의 슬기로운 스마트시티 생활을 꿈꿔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