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통가의 화산 폭발, 기후변화로 이어지나 ?

일본언론,통가분화로 일본내 쌀 생산량 줄어들수 있어
통가의 피해, 생생하게 분화 6일 후의 사진

  • Editor. 최유진 기자
  • 입력 2022.01.29 1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가 화산재 분연의 높이는 1만 6000m에 도달했다. (사진=로이터/Tonga Geological Services)

일본 전문가는 "통가의 대규모 화산 폭발로 인해 대기 중으로 분출된 화산재 및 기타 제품의 기둥이 지구의 기후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일본언론 NHK 가 24일 보도했다.

통가의 화산재는 1월 15일 해저 화산이 폭발하여 많은 양의 화산 물질이 대기 중으로 분출되었다. 화산재는 10km가 넘는 대기층인 성층권에 도달했다. 미국 우주국 NASA의 위성 데이터에 따르면 화산재, 이산화황 및 기타 물질은 지구에서 30km 높이까지 도달했다고 밝혔다.

규슈대학 응용 역학 연구소의 기후변화 다케무라 토시하이코(Takemura Toshihiko)교수는 대기 중 높이 떠다니는 많은 양의 화산 물질은 일시적으로 행성을 냉각시킬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Takemura는 1991년 필리핀 피나투보 산의 폭발을 언급하여 대량의 화산 생성물을 성층권으로 올라갔고, 화산재는 지구에 도달하는 햇빛을 약화시켜 평균 온도를 섭씨 0.5도 정도 낮추었다고 말했다. 이는 일본의 쌀 수확량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여겨진다.

해외 전문가들의 예비 분석에 따르면 통가 화산 폭발로 방출된 이산화황의 양이 피나투보 사건의 약 1/50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를 입은 통가현장 (사진=통가 MALAU MEDIA)


Takemura는 예비 분석이 현재로서는 통가 화산 폭발이 지구 전체 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통가의 화산재분출은 해저 분화였기 때문에 화산재가 물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화산재가 높은 고도에 도달하지 않았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바닷물이 이산화황을 어느 정도 흡수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피해를 입은 통가현장 (사진=통가 MALAU MEDIA)


Takemura는 가능한 영향의 범위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자세한 분석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기온 상승과 해수면 상승으로 기후 변화는 쓰나미, 폭풍 해일 및 폭염으로 인한 재난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유엔의 글로벌 해수면 관측 시스템에 따르면 인구 105,000명의 군도 국가 주변의 해수면은 매년 약 6mm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평균 속도의 거의 두 배이상으로 섬들은 적도 근처의 따뜻한 물에 위치하기 때문에 해수면 상승이 극지방보다 더 두드러지기 때문인것으로 밝혀졌다.

피해를 입은 통가현장 (사진=통가 MALAU MEDIA)


쓰나미와 폭풍 해일의 피해는 해변으로 밀려오는 바닷물은 농업용 토양을 오염시키고 수년 동안 쓸모없게 만들 수 있다. 쓰나미 파도는 또한 해안 침식을 악화시키고 산호초와 맹그로브 숲과 같은 해수면 상승에 대한 자연 완충 장치를 파괴 한다.

피해를 입은 통가현장 (사진=통가 MALAU MEDIA)


기후 변화로 해양 표면이 온난화됨에 따라 따뜻한 물이 점점 더 강력한 사이클론을 연료로 사용함에 따라 그러한 폭풍 해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통가와 주변 국가들은 지난 4년 동안 2개의 카테고리 5 사이클론으로 피해를 입었고 수억 달러의 피해를 입었다.

피해를 입은 통가현장 (사진=통가 MALAU MEDIA)


통가의 기온은 이미 1979년보다 0.6°C 높아져 평균 일일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UN의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에 따르면, 계속되는 온난화는 고온이 더 많은 증발을 일으키고 지역 강우 패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토양을 더 건조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피해를 입은 통가현장 (사진=통가 MALAU MEDIA)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데이터에 따르면 '통가'는 기온이 자주 35°C를 돌파하면서 향후 수십 년 동안 더 많은 폭염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극심한 더위는 열대성 습도와 결합될 때 특히 위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