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LINE 지분 압박, “일본 총무성도 어지럽혀진 변함없는 체질”

  • Editor. 이은광 기자
  • 입력 2024.04.28 19:41
  • 수정 2024.04.29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각사 이미지 합본)
(사진=각사 이미지 합본)

[디지털비즈온 이은광 기자] 일본 경제전문지 동양경제가 “LINE 야후, 총무성도 어지럽혀진 변함없는 체질” 이라 는 기사제목을 실었다.

“일본 총무성은 3월5일 SNS 'LINE'과 검색서비스 'Yahoo! JAPAN' 등을 운영하는 LINE 야후에 행정지도를 했다. 그 지도 내용을 적은 문서를 본 통신업계 관계자는 놀라움을 목격했다.” 고 3월 15일 일본매체 동양경제가 보도했다

일본 매체들은, LINE 야후는 2023년 9~10월 LINE 이용자와 거래처 정보 등 약 51만9000건을 외부로 누설시켰다고 전했다. 총무성은 이 중 2만건 이상이 전기통신사업법상의 '통신의 비밀' 유출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일본 총무성은 “안전 관리 조치 및 위탁처 관리의 발본적인 재검토 및 대책 강화, 라인과 야후라인의 포함한 그룹 전체에서의 보안 거버넌스의 본질적인 재검토, 대처 내용에 관한 진척 상황의 정기적인 공표 등을 통한 이용자 대응의 철저” 등 3가지 요구사항을 4월16일 공식 보도했다.

일본 총무성은 라인 시스템의 인증 기반이 네이버와 공동으로 사용됐다는 점을 거론하며 “네이버에 대한 강한 의존관계가 (관리·감독 부실의) 큰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라인야후 측이 개발 운영 분리에 3년 정도 걸릴 것이라고 하자 일본 정부는 “기술 조치를 마련하는 걸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자본 관계 자체를 재검토하라고 내용이다.

그러면서 일본 동양경제는 “행정 지도로 여기까지 밟은 문서는, 그다지 본 적이 없다. 또 다시 정보유출이 발생하면 용서하지 않는다.” 라는 메시지일 것이라 논평했다.

일본 외신들은 구체적인 지도 항목으로서 LINE 야후의 모회사에 50% 출자하는 한국의 IT 대기업, NAVER와의 시스템 분리와 그룹 전체의 보안 거버넌스 체제 강화 등을 요청, 그 대처 방침 등을 4월 1일까지 정리한 후, 향후 적어도 1년간은 분기마다 총무성에 대응 상황을 보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라인야후 측은 6일 정보 유출 및 행정지도 책임을 지고 가와베 겐타로(川邊健太郎) 회장은 2023년 11월 동양경제 취재에 대해 “GAFAM에 대항하기 위해 일본 국내 업계 재편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IT플랫포머의 근간을 이루는 유저의 정보 관리로 넘어지고 있는 현상, 엄청난 M&A 등을 걸 수 있는 여유는 없을 것이라 논평했다.

교토통신은 4월 27일 "LINE의 경영권이 소프트뱅크에 건너가면 네이버는 일본뿐만 아니라 아시아 시장을 잃을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네이버는 “라인야후와 함께 향후 보안 체계 강화를 위해 일본 정부와 적극 협력하겠다”는 입장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6일 “일본 총무성은 라인에서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네이버 클라우드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며 “이미 라인야후 측에서 네이버 클라우드와 라인 간 네트워크 접속관리를 강화하고 양사 간 공동인증체계를 분리하는 등 위험 요소를 없애려는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한국 외교부는 일본 총무성이 라인야후의 지분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를 한 것과 관련해 "한국 기업에 대한 차별적인 조치는 있어서는 안 된다는 확고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라인야후 모회사인 A홀딩스 주주인 네이버의 입장을 확인한 다음 "필요한 경우 일본 측과도 의사소통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