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2023년을 빛낸 12명의 '차세대 여성 AI' 리더

  • Editor. 이호선 기자
  • 입력 2023.12.16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pixabay 를 통한 맥아더재단/NVIDIA/위키백과 )
(사진=pixabay 를 통한 맥아더재단/NVIDIA/위키백과 )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2023년은 인공지능(AI)이 일상생활 속에 자리잡고 있다. 링크드인 보고서에 따르면 AI 전문가는 미국에서 가장 떠오르는 직업으로, 지난 4년 동안 이 역할에 대한 채용 성장률이 매년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및 머신러닝 분야에서 일하는 여성과 남성을 대상으로 한딜로이트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이 분야에 더 많은 여성이 있으면 AI 시스템의 설계와 기능이 향상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응답자의 70% 이상이 AI에 여성을 추가하면 업계에서 필요한 첨단 기술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갖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은 전 세계 인력 중 데이터 및 AI 직위의 26%만을 차지하며, 스탠포드 인간 중심 AI 연구소(Stanford Institute for Human-Centered AI)의 AI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은 재직 기간의 16%에 불과했다.

AI 분야에는 여전히 남성보다 여성이 적지만, 전 세계 산업 전반에 걸쳐 AI를 활용하고 존재하는 편견과 성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2023년 최고의 여성 리더들을 외신자료를 통해 조명해본다.

◇2023년을 빛낸 12명의 차세대 여성 AI 리더

아난드쿠마르(Anima Anandkumar) 박사

인도 출신의 아난드쿠마르 박사는 텐서 대수 방법, 딥 러닝 및 비볼록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현재 NVIDIA의 AI 연구 수석 이사이자 칼텍의 Bren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AI 연구의 강자인 아니마 아난드쿠마르박사는 과학 응용을 위한 AI 알고리즘 개발 전문가로서 그녀는 과학을 위한 AI 운동의 핵심 인물로 알려져 있다.

조이 부올람위니 (Joy Buolamwini) 박사

알고리즘 저스티스 리그를 이끌고 있는 ‘조이 부올람위니’는 AI를 접목한 예술과 연구를 통해 글로벌 기술 패널로 전 세계적으로 AI 측면에 대한 부분을 강조하는 저자이다. 그녀의 최신 저서 "Unmasking AI: 기계 세계에서 인간을 보호하는 나의 임무"에서 그녀의 여정을 찾아볼 수 있다.

한국출신 최예진 박사

맥아더 펠로십(MacArthur Fellowship) 수상자이자 워싱턴 대학교 교수인 최예진 박사는 수년간 자연어 처리와 사회적 상식 추론의 교차점을 탐구해 왔다. 최예진 교수는 인간의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하도록 하는 자연어 처리(NLP)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다.

최예진 워싱턴대학교 컴퓨터 공학부 교수가 올해의 맥아더 펠로우 가운데 한 명으로 선정됐다. 최 교수는 자연어 처리를 사용해 추론할 수 있고, 인간 언어의 함축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사진=맥아더 재단)
최예진 워싱턴대학교 컴퓨터 공학부 교수가 올해의 맥아더 펠로우 가운데 한 명으로 선정됐다. 최 교수는 자연어 처리를 사용해 추론할 수 있고, 인간 언어의 함축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사진=맥아더 재단)

상식과 추론 및 상식으로 추론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시스템 연구에 집중, 최근 AI가 인간의 언어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인간의 상식에 따라 문장의 함축된 의미를 이해하는 AI모델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온라인 허위 후기, 가짜 뉴스 등을 가려내는 시스템을 만들었고, AI에 인간의 윤리를 가르치는 프로젝트도 이끌고 있다. 최 교수는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마이크로소프트(MS) 연구원으로 일하다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뉴욕주립대(SUNY)를 거쳐 2014년부터 워싱턴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다프네 콜러(Daphne Koller) 박사

200개 이상의 출판물을 보유한 기계 학습 분야의 선구자인 다프네 콜러는 1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세계 최고의 온라인 학습 플랫폼인 Coursera를 공동 창립했다. 현재 Insitro의 CEO로서 그녀는 AI 기반 신약 개발을 이끌고 있다.

캐시 코지르코프(Cassie Kozyrkov)

Google의 전 최고 의사결정 과학자이자 현재 Data Scientific의 CEO인 캐시 코지르코프는 의사결정 지능과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전문가로 알려져있다.

그녀는 개인적으로 20,000명 이상의 Google 직원을 교육했으며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및 AI 전략을 수립하여 100개 이상의 프로젝트에 조언을 제공했다. 또한 50만 명의 기술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다.

페이 페이 리(Fei-Fei Li) 박사

리페이페이 또는 페이페이 리는 중국계 미국인 여자 컴퓨터 비전 연구자이자 이미지넷 설립자이다. 리는 컴퓨터 비전 분야의 권위자로서 10년 넘게 스탠포드 교수로 재직했다. ImageNet 프로젝트를 주도한 것으로 유명하다. 

페이페이 리(Fei-Fei Li)는 구글의 전 수석 AI 과학자이다.(사진=그렉 산도발/비즈니스 인사이더)
페이페이 리(Fei-Fei Li)는 구글의 전 수석 AI 과학자이다.(사진=그렉 산도발/비즈니스 인사이더)

그녀는 이미지 데이터 세트 구축에 기여하여 2010년대 딥 러닝의 엄청난 발전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는 오늘날의 생성 AI 발전을 계속해서 뒷받침하고 있다. 다양한 세대를 위한 AI 교육을 옹호하는 비영리 단체인 AI4ALL의 공동 창립자로서 그녀는 보편적인 AI 접근과 관점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라 무라티(Mira Murati)

OpenAI의 CTO인 미라 무라티는 Dall-E, Codex 및 매우 유명한 ChatGPT를 포함한 AI 제품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다. 공개 테스트에 능숙한 그녀는 현재 AI 업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타트업 중 하나의 핵심 리더로 알려져있다.

조엘 피노(Joelle Pineau) 박사

조엘 피노박사는 Meta의 AI 연구(FAIR) 부사장이자 오픈 소스 기계 학습의 책임자이다. 단일 모델로 200개 언어를 번역하는 독특한 프로젝트인 No Language Left Behind 또는 TIME의 2023년 최고의 발명품 중 하나로 인정받은 최초의 올인원 다국어 다중 모달 번역 모델인 SeamlessM4T는 조엘 피노가 이끄는 팀에 의해 만들어졌다.

프란체스카 로시(Francesca Rossi) 박사

로시 박사는 IBM의 AI 윤리 글로벌 리더로 유명하다. 200개 이상의 과학 논문을 발표한 그녀는 글로벌 책임 있는 AI 및 공정성 이니셔티브의 핵심 인물로 알려져있다. 현재 AAAI 회장(세계 최고의 AI 협회)을 맡고 있는 그녀는 OECD AI 전문가 그룹, 세계 경제 포럼 등 많은 글로벌 사고를 선도하는 그룹에 자신의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리사 수(Lisa Su) 박사

AMD의 CEO인 리사 수 박사는 회사를 성공적으로 부활시켜 반도체 산업의 주요 플레이어로 재탄생시켰다. AI 칩 지배력에 대한 AMD의 시선을 통해 그녀는 AI 하드웨어의 미래를 크게 형성하는데 기여했다.

비비안 세(Vivienne Sze) 박사

MIT의 비비안 세 박사는 에너지 효율적인 AI 가속기를 개척했다. 그녀의 작업은 자율 내비게이션부터 디지털 건강, IoT까지 다양한 영역을 다루며 AI를 더욱 쉽게 접근하고 광범위하게 적용하는데 기여했다.

라켈 우르타순( Raquel Urtasun) 박사

라켈 우르타순 박사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선구자로서 현재 자율 주행 트럭 운송에 혁명을 일으키기 위해 생성 AI의 경계를 넓히는 혁신적인 회사인 Waabi의 창립자이자 CEO로서 조명받고 있다.

Waabi 이전에 그녀는 Uber의 자율주행차 부문을 이끌며 현대 AI 환경의 핵심 구성 요소인 컴퓨터 비전과 인식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