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이호선기자]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개최된 제63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IMO)에서 한국대표단 학생 6명 전원이 메달을 획득하였다.
104개국 589명의 학생들이 참가하여 경연을 펼친 이번 대회에서, 한국대표단은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를 획득하여, 총점 208점으로 국가 종합 2위를 달성하였다.
특히, 금메달을 수상한 최우진(서울과고2) 학생은 42점 만점 중 40점을 획득하여 개인 12위에 오르는 우수한 성적을 거뒀고, 배준휘(서울과고2), 이규동(서울과고2) 학생은 2021년 대회에 이어 2년 연속 금메달을 획득 및 김동현(서울과고3) 학생은 동메달을 획득했던 2020년 대회에 이어 올해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대회는 7월 11~12일 이틀에 걸쳐, 하루에 3문제씩, 수학의 대수, 기하, 정수론, 조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총6문제가 출제되어 문제당 7점 만점으로 채점되었다.
올해는 문제 난이도가 예년에 비해 다소 낮게 출제되어, 금, 은, 동메달 커트라인은 각각 34, 29, 23점으로 예년에 비해 높은 점수로 정해졌다.
올해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를 지도한 것으로 잘 알려진 서울대 김영훈 교수를 비롯, 서울대 송용수·서인석 교수, UC 버클리 신석우 교수 등이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에서 국제적 수학자로 성장하여 기초학문 발전은 물론 후학양성·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국제수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을 이끌고 있는 금종해 대한수학회장은 "학생들이 이번 대회를 통해 수학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고, 장차 과학기술계를 이끄는 세계적인 인재로 성장하여 한국 수학·과학 발전에 이바지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시작으로, 물리(7.10~17), 생물(7.10~17), 화학(7.10~18) 분야 등의 국제과학올림피아드 결과가 차례차례 발표될 전망이다.
◇2022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대회 개요
1959년 루마니아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1980년을 제외하고 매년 개최하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는 2018년 루마니아 클루지나포카, 2019 잉글랜드 배스. 2021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최되었다.
국제수학올림피아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회로 각 국가별로 최대 6명까지 참가할 수 있다. 전 세계 수학 분야 영재들의 학습 의욕 고취와 국제친선 및 문화교류를 목적으로 매년 전 세계를 순회하여 개최된다.
올해 국제수학연맹(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IMU)에서 한국 수학의 국가등급을 최고등급으로 승격을 확정하게 된 신청서에는 한국 수학의 전반적 성장과 관심을 강조하는 여러 수학분야의 실적과 함께 한국의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입상 실적도 폭넓게 포함되었으며, 수학계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 수상자의 상당수가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 출신이다.
이번 오슬로 제63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선발 과정은 대한수학회 내 한국수학올림피아드위원회 주관 한국수학올림피아드를 통해 수학 영재를 발굴하고 교육하여 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