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 당국이 열흘 가까이 지속된 동해안 산불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의 확산 경로를 환경위성 '천리안위성 2B호'로 포착했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동해안 지역 산불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을 포착한 정지궤도 환경위성 영상과 분석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지난 3월 4일 오전 11시17분께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리에서 발생한 산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강원도 삼척까지 확산해 13일까지 역대 최장 213시간 동안 지속됐다. 다음 날인 5일 새벽 1시41분께 강릉 옥계에서 시작된 산불은 동해 지역으로 확산해 3월8일 진화됐다.
환경과학원 연구진은 천리안위성 2B호에서 산출한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결과 오염물질이 동해안 대형 산불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의 시간별 이동 및 확산 상황을 포착했다.
천리안위성 2B호 산출물 중 자외선 에어로졸 지수(UVAI), 이산화질소(NO2),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HCHO), 글리옥살(CHOCHO) 영상에서 산불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농도 상승도 확인됐다.
유럽 저궤도 환경위성(TROPOMI)에서는 자외선 에어로졸 지수(UVAI), 일산화탄소(CO) 농도 상승과 산불로 방출된 고농도의 에어로졸(AAI)과 일산화탄소(CO)가 동해로 확산 중이며, GEMS의 다른 산출물들과 유사한 경로 및 농도 분포를 보였다.
특히 자외선 에어로졸 지수(UV Aerosol Index)는 대기 중 에어로졸의 광흡수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주로 황사와 산불로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대해 값이 크게 나타났다.
영상에서는 4일 울진 산불이 시작된 때부터 5일 강릉에서 추가 산불이 발생한 뒤 시간이 지날수록 다량의 에어로졸이 동해와 주변 지역으로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울진 소재 지상 대기오염물질 급격히 상승
경북 울진 지역의 지상 대기오염물질 농도는 최근 3년간 3월 평균값에 비해 급격히 상승했다. 경북 울진 소재 지상 대기오염물질 관측망에 측정된 초미세먼지 농도는 최대 385㎍/㎥에 달했다. 이산화질소 농도는 0.028ppm, 일산화탄소 농도는 3.8ppm까지 치솟아 평소보다 최대 24배까지 높게 나타났다.

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는 올해 내로 영상자료 위성 산출물과 함께 수치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수치자료는 대형 산불 발생시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해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전망이다.
정은해 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대형 산불과 같이 사람이 직접 현장에 접근하기 어려운 재난 상황에서는 위성을 통한 원격 관측이 매우 중요하다"며 "정지궤도 환경위성을 기후변화 적응과 위기 대응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