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CJ ‘해찬들 된장’, 나트륨 함량 최다 1위 …표시광고법 위반

수입산 원재료로 만들고 국산인 것처럼 표기하면 표시광고법 위반
단일제품으로는 대상 ‘진한재래식된장’이 나트륨 함량 최다
된장 나트륨 100g당 평균 4,219㎎으로 일일 권장량 2배 넘어
원재료는 외국산인데 전통 한식된장으로 표기해 소비자 현혹

  • Editor. 이현주 기자
  • 입력 2024.06.02 19:36
  • 수정 2024.06.05 1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CJ)
(사진=CJ)

[디지털비즈온 이현주 기자] 최근 건강식을 선호하는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된장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된장은 대두, 쌀, 보리, 밀 등을 주요 원료로 하며, 이를 발효하여 메주와 함께 담근 후 간장을 분리하고 남은 것을 가공한 것으로 한식된장과의 구분을 위해 ‘(일반)된장’으로 표기한다. 

한식된장은 콩으로 쑨 메주를 소금과 물에 발효시킨 전통 방식의 된장을 일컫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메주는 한식메주를 사용한다. 메주에는 한식메주와 개량메주가 있으며, 한식메주가 전통메주라면 개량메주는 발효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가져온 종균이 빨리 접착할 수 있도록 밀가루를 첨가한다.

소비자들은 편의성이 강화된 된장 기반의 혼합장, 소스, 즉석조리식품 등을 선호하고 있는 가운데, 직접 조리를 해야 하는 전통 장류인 된장이 생산량은 줄어들고 있다. 

이 때문에 된장의 생산량은 감소하고 있지만 프리미엄을 표방한 한식된장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소비자의 건강과 알권리 확보 차원에서 지난 2018년부터 된장의 표시 및 영양성분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제도개선 방안을 제안해 왔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실태조사에 따른 문제제기와 개선제안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022년 9월 조사결과를 기준으로 2024년 5월 현재 전통식품인 된장의 영양(나트륨)과 원재료(대두, 소맥분)실태를 조사했다.

2022년 9월 조사 당시 오픈마켓 쿠팡, 11번가, 옥션, G마켓 등에서 표시·광고하며 판매되는 된장 14개 제품을 무작위로 선정해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2022년 조사 당시 동일 제품을 대상으로 했다. 이를 근거로 향후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먹거리 제공을 위한 개선방안을 촉구하고자 한다.

2023년 기준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현재 된장 제조사 점유율은 CJ제일제당 52.36%, 대상 21.79%, 샘표식품 9.21%, 풀무원식품 3.86%, 사조대림 2.51%순으로 나타났으며, 1위인 CJ제일제당과 2위인 대상이 74.15%를 차지하고 있다. 된장 브랜드 점유율은 다담(CJ제일제당) 27.46%, 해찬들(CJ제일제당) 24.9%, 청정원순창(대상) 21.28%, 샘표(샘표식품) 9.21%, 풀무원(풀무원식품) 3.13%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인 14개 제품 평균 나트륨 함량은 100g당 평균 4,219mg(2022년 조사결과 4,220mg)에 달했다.

2022년 진행한 ‘된장 영양성분(나트륨 함량) 실태조사’에 따르면, 된장 점유율 27.7%를 차지할 정도로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CJ제일제당 ‘해찬들’ 된장의 나트륨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J 해찬들 된장 4개 제품의 100g당 평균 나트륨 함량이 4,700mg으로 일일 권장량 2,000mg의 두 배를 넘었다. 단일 된장 제품 중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대상 ‘진한 재래식 된장’(4,980mg)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대상이 된 14개 제품 중 상위 3개 주요 제조사의 나트륨 함량을 살펴보면, 대상(청정원) 3개 제품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4,437mg, CJ(해찬들) 4개 제품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4,695mg, 샘표식품 2개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4,380mg이며, CJ(해찬들) 제품의 나트륨 평균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위와 같은 조사결과를 근거로, 나트륨 함량은 대부분 개선되지 않고 여전히 높다고 지적하면서 국민건강 위한 저염식 된장 개발 나서야  원재료 표기 역시 소비자를 현혹하여 수입산 원재료로 만들고 국산인 것처럼 표기하면 표시광고법 위반이라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