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국제표준화회의(ISO/IEC JTC 1/SC 35) 한국 유치

시각 장애인의 앱 접근성 향상, 우리 기술로 국제표준화 선도

  • Editor. 곽중근
  • 입력 2024.02.06 13:23
  • 수정 2024.02.06 13: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디지털비즈온 곽중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서성일)은 한국 대표단(단장: 건국대학교 김지인 교수)이 지난 1월 29일부터 2월 2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50차 ISO/IEC JTC 1/SC 35(사용자인터페이스) 총회에 참석하여, 2025년 1월 개최 예정인 제52차 JTC 1/SC 35 국제표준화회의 국내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JTC 1/SC 35 산하 「입력과 피드백에 관련된 키보드·방법 및 장치 작업반」(WG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혁 박사)과 「자연스러운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호작용 작업반」(WG 9, 건국대학교 김지인 교수)에서 컨비너를 맡아 적극적인 표준화 활동을 추진 중이며,

이번 총회에서 국제표준화회의 유치 이외에도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스크린 리더용 앱을 위한 몸 동작(몸짓 또는 손짓)과 적용 사례를 명시한'바디 제스처(ISO/IEC PWI 30113-4)'의 신규표준화 추진을 확정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또한, 연속된 문장에 대한 자연스러운 통역서비스 제공 기술에 대한‘자동 동시통역 시스템(ISO/IEC 23773-1, 2, 3)’시리즈를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하여 올 상반기 국제표준으로 발간을 앞두고 있으며,

교통, 쇼핑, 공공분야 등 활용이 확산되고 있는 무인정보단말기(키오스크)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및 스크린 리더용 멀티포인트 제스처에 관한 표준안도 신규표준화 항목으로 개발이 추진중이다.

서성일 국립전파연구원 원장은 “다양한 지능형 서비스가 제공되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등하게 앱에 접근·이용할 수 있도록 표준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며, 이번 국제표준화회의 유치 등을 통해 우리나라가 사용자인터페이스 분야 국제표준화를 선도하고 국제적인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