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이은광 기자] 식중독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중에서 크로노박터 사카자키(Cronobacter sakazakii)는 대장균이나 살모넬라균만큼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2022년 2월에 미국에서 크로노박터 사카자키에 오염된 분유를 섭취한 두 명의 유아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분말을 제조한 미국 애보트뉴트리션(Abbott Nutrition) 회사는 대규모 리콜을 실시했다. 이번 사망 사고와 후속 밀크 부족은 크로노박터 사카자키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약점을 드러냈다.
2013년 학술지 'Food Microbiology'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신생아가 크로노박터 사카자키에 감염되면 50~80%가 사망한다고 하지만, 다행히 감염 예는 비교적 드물며 미국에서는 일년에 몇 건밖에 확인되지 않았다.
미국 지역일간지 'newsobserver' 에 따르면 사카자키 세균은 같은 유형의 세균이 생존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교묘한 구조를 진화시키고 있다.
이 성질이야말로 크로노박터 사카자키를 주의해야 할 세균으로 주목해야 한다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의 미생물학자로 식품안전 전문가인 벤자민 채프먼박사(Benjamin Chapman)는 지적했다.
◇크로노박터 사카자키는 어떤 세균?
채프먼박사는 크로노박터 사카자키는 일반적인 지명도가 낮고 감염 예도 적지만 어디에나 있는 세균이다. "토양 속에도 환경 속에도 있다."고 말했다.
가정에서도, 조리대나 에어 필터 등의 표면으로부터 검출된다. 이번에는 밀크와의 관련으로 유명해졌지만 옛날에도 지금도 신선한 식품, 허브티, 하수 등 모든 것에서 발견되고 있다.
미국 시카고 대학의 신생아과 의사 에리카 클라우드 박사는 크로노박터 사카자키에 의해 유발되는 장 질환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면서 "장내 세균총은 숲이나 연못과 같은 생태계입니다.
즉, 모든 요소가 다른 모든 요소를 제어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시스템의 균형이 잡히면, 선옥균은 악옥균이 세포에 부착하는 것을 막아준다. 선옥균은 영양소 획득 경쟁을 통해 악옥균의 번식도 막는다고 말했다.
◇크로노박터 사카자키균, 소화관 통해 심각한 결과 초래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존 스워츠버그 교수는, 면역계가 미발달되어 있는 신생아는 크로노박터·사카자키와 같은 병원균이 체내에 들어가면, 심각한 증상이 급작스럽게 나타난다고 했다.
병원균은 오염된 분유나 분만시의 산도 감염에 의해 신생아의 체내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크로노박터 사카자키는 전형적으로 소화관에서 체내로 침입한다고 설명했다.
신생아나 면역력이 저하된 어른의 경우, "크로노박터 사카자키는 점액층을 돌파하여 혈류에 들어가 전신에 옮겨져 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세균은 "패혈증을 일으켜 염증 에 의해 혈관의 벽에서 혈액이 누출되어, 심장이나 신장 등 복수의 장기가 기능부전에 영향을 주고, 경련 발작, 인지 기능 장애, 발달의 지연 등, 자주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건조에 강한 크로노박터 사카자키
크로노박터·사카자키는 장내 세균과의 간균(막대 모양의 세균)으로, 영양분 등의 목표물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돕는 편모(돌기)모양이다. 세균은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튼튼하고, 2년간 방치된 분유 중에서 발견된 적도 있다.
한국식품안전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크로노박터·사카자키는 스스로 캡슐화하여 분유 유통기한(24개월)동안 생육이 가능하다. 표면에 붙어 막을 형성하여 세척제나 살균제의 효과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크로노박터·사카자키가 오염된 분유를 섭취하면 신생아에게 드물게 발생하지만 생명에 위협적인 수막염(meningitis), 세균혈증(bacteraemia), 괴사작은창자큰창자염(necrotizing enterocolitis)과 괴사성 수막뇌염(necrotizing meningoencephalitis)을 야기 시킨다.
최근 국제식품미생물규정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for Microbiological Specifications for Food)에서는 사카자키균을 ‘민감군에게 심각한 위해, 생명위협 혹은 잠재적 만성 후유증’으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에는 Listeria monocytogenes, Clostridium botulinum types A 및 B와 Cryptosporidium parvum 등과 같은 미생물들이 있다.
채프먼박사는 세균이 분유를 유일한 영양원 으로 하는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면서 "크로노박터 사카자키 감염증을 추적 및 신고 대상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