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민간 4차산업 핵심기술 '국방 첨단기술 탈바꿈"

'민군기술협력사업 2022년도 시행계획' 확정
민군겸용기술 개발, 국방분야 성능향상

  • Editor. 조성훈기자
  • 입력 2022.03.01 1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는 군의 첨단기술군 도약 및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에 중점을 두어 국방분야 무기체계 성능향상을 도모한다.(사진=pixabay)


정부가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중점으로 사이버, 자율주행, 로봇, 위성, 발사체 등 우주분야 기술융합형 첨단기술 등 전략적으로 총 2,51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 방위사업청 등 14개 부처는 '민군기술협력사업 2022년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은 '99년부터 시작된 대표적인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민군겸용기술을 개발하여 국방분야 무기체계 성능향상 뿐만아니라 민간분야 미래 성장동력의 견인에도 기여해 오고 있다.

군사 부문과 비군사 부문 간의 기술협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규격을 표준화하며 상호간 기술이전을 확대함으로써 산업경쟁력과 국방력을 강화한다.

'22년도 정부예산 규모는 총 2,5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2% 증가하였고 민과 군의 공통필요기술을 개발하는 민군기술개발사업에 1,913억원, 민과 군이 보유한 기술을 상호이전하여 사업화하는 민군기술이전사업에 484억원을 투자하여 총 8개 부처가 250개 과제를 추진한다.

신규과제는 군의 첨단기술군 도약 및 신기술을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먼저 자율주행·로봇, 사이버, 가상현실(VR)·혼합현실(MR)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분야 민군기술 개발 7개 과제에 376억9000만원을 투자한다.

신기술의 국방 분야 활용성 및 민수사업화를 제고하기 위해 국방 실증을 통한 트랙레코드 확보 8개 과제에는 166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위성, 우주 발사체 등 도전적·혁신적 첨단 기술 분야의 대형과제로는 총 9개 과제에 1930억원이 투입된다.

'22년 착수 예정 민군 우주기술분야 과제 사례.(자료=산업통상자원부0


이 밖에 국방기술의 민수사업화(Spin-off) 촉진을 위해 민군협력진흥원 내 사무소를 설치해 온·오프라인 상담을 지원하는 원스톱지원서비스를 올해부터 운영한다.

민군기술협력사업 성과물의 활용 확대를 위해 우선 구매 촉진을 위한 법적 근거 강화 등 제도 정비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사업의 신규 과제는 산업부, 과기부, 방사청 등 관계 부처 합동으로 3월 중 공고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박재영 제조산업정책관은 “기술패권 경쟁으로 인한 기술블록화가 심화되고 있어 첨단국방과 산업혁신을 위해 신기술 개발을 위한 민군협력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시점이다“며,“ 민간의 우수한 신기술이 국방분야에 신속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군 관련 기관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국방기술을 활용한 혁신제품개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