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가 수소경제의 허브가 될 수 있는 국제수소거래소를 선제적으로 구축해 수소경제의 명실상부한 국제중심이 되길 기대한다”고 국회에서 '국제수소거래소 구축 토론회'에서 이원욱 위원장이 밝혔다.
이원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 윤후덕 기획재정위원장, 이학영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 공동주최에 산업통상자원부와 수소융합얼라이언스(회장 문재도)후원으로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제수소거래법 토론회-대한민국을 국제수소거래의 거점으로'토론회가 개최됐다.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제수소거래소 구축 토론회-대한민국, 세계 수소경제의 중심이 되다'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석유국제거래소를 보유한 나라는 단순한 거래소를 넘어 오일허브로 부상하고 에너지 물류기능 확대 및 금융거래 서비스의 중심이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원욱 위원장은 “최근 수소에너지는 지구상에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인 수소를 활용해 기후변화 및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율성 높은 대체에너지 원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수소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중심”이라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수소는 화수분처럼 마르지 않는 청정자원으로, 다른 자원에 비해 편하게 구할 수 있고 유해물질의 발생도 매우 적다”며 “앞으로 기후위기 방지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화석에너지 시대를 벗어나는 돌파구로 수소에너지를 잘 활용하는 국가가 세계 자원 시장의 질서를 이끌어 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친환경 수소에너지의 장점을 활용하는 수소경제가 대세가 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세계 유일의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수소경제 리더로 발돋움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 위원장은 ”이제 우리나라가 전 세계 수소경제의 모델로 자리를 잡으면서 온실가스 감축, 탄소중립 실현에 보탬이 되고자 국제수소거래소 설치에 대한 기준 등을 명시한 국제수소거래소제정안이 현재 대표발의 돼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향후 수소거래소 설립을 통해 수소경제 기반 확대와 거래거점 구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이 위원장은 내다봤다.
이원욱 위원장은 “지금 이 순간에도 전 세계 여러 국가들은 수소에너지 선점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기존 경제의 축을 탄소경제에서 수소경제로 과감하게 이동하고, 수소산업을 우리경제의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 실현 및 국가의 수소경제 역량 강화를 위해 수소거래소 구축을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원욱 위원장은 제20대 국회에서 수소경제법 제정안을 대표발의해 국회를 통과시켰다. 21대 국회에서는 청정수소 보급 체계 구축, 수소가스터빈 개념을 명시하는 법을 각각 발의한데 이어 지난 11월 초 국제수소거래소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이하 국제수소거래소법)을 대표 발의하는 등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앞장서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