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매운맛 제로! 농심, ‘순하군 안성탕면’ 출시

안성탕면 40주년 맞아 선보이는 스코빌지수 0의 순한맛 라면

  • Editor. 이은광 기자
  • 입력 2023.10.05 11: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디지털비즈온 이은광 기자] 1983년 출시한 농심 안성탕면이 올해로 40주년을 맞았다.

구수한 된장 베이스에 장터 우거지 장국의 맛을 모티브로 개발한 안성탕면은 농심의 라면시장 역전을 이뤄낸 일등 공신으로 꼽히며, 현재도 라면시장 판매 순위 TOP3에 이름을 올리는 메가 히트 제품이다.

■ 스코빌 지수 0의 ‘순하군 안성탕면’ 선보여

농심은 안성탕면 출시 40주년을 맞아 신제품 ‘순하군 안성탕면’을 오는 23일 새롭게 선보인다. 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아 스코빌지수 0의 순한맛 제품으로 중량과 가격이 기존 안성탕면과 동일하다.

농심 순하군 안성탕면은 닭육수를 더해 감칠맛을 더욱 살린 것이 특징이다. 기존 안성탕면의 맛을 이루는 구수한 된장과 소고기 육수에 닭육수가 더해져 한층 깊고 진한 국물맛을 낸다는 평이다.

농심 관계자는 “라면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세분화되며 다양해지고 있다”라며 “라면을 좋아하지만 얼큰함보다는 순한맛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비롯해 남녀노소 누구나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제품”라고 설명했다.

■ 안성탕면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한눈에! 전국 순회하는 ‘팝업스토어’

농심은 안성탕면 출시 40주년을 기념하여 전국을 순회하는 ‘모빌리티 안성탕면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첫 팝업스토어는 오는 6일부터 9일까지 동대문 DDP에서 열린다. 6일 개막 행사에서는 농심이 최근 진행한 안성탕면 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비롯해 안성탕면 모델 강호동의 팬 싸인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팝업스토어는 안성탕면의 과거와 현재, 미래 등 세 가지 공간으로 구분되어, 공모전 수상작을 비롯해 안성탕면의 역사를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된다.

농심은 이번 동대문 DDP를 시작으로 연내 부산 복합문화공간 피아크와 스타필드 안성, 서울 코엑스 등에서 순차적으로 안성탕면 팝업스토어를 운영할 예정이다.

농심 관계자는 “지난 40년간 소비자들이 안성탕면에 보내온 사랑과 성원에 감사한다”라며 “앞으로도 꾸준히 사랑받는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1983년 출시해 라면시장의 메가브랜드로 자리 잡은 안성탕면. 라면 시장에 다양한 브랜드가 존재하지만, 안성탕면만큼 변치 않는 인기와 사랑을 이어가는 브랜드는 드물다. 공고한 마니아층을 보유하고 있는 안성탕면의 인기 비결은 구수한 된장 베이스의 국물에 있다. 

■ ‘라면은 국물 맛’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연 안성탕면

‘내 입에 안성맞춤'이라는 광고문구로 유명한 안성탕면은 옛날 시골 장마당에서 맛볼 수 있는 우거지 장국의 맛을 재현해 보자는 제안에 따라 개발됐다.

푹 고아 우려낸 깊은 진국의 맛을 구현하고자 농심은 1982년 업계 최초로 안성에 스프전문공장을 세웠고, 안성탕면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농심은 1983년 9월, 진공건조라는 첨단 스프제조방식이 적용된 안성탕면을 출시했다. 소뼈와 고기에서 우러난 깊은 맛에 된장과 고춧가루가 어울려 구수하면서도 얼큰한 우거지 장국의 맛을 그대로 살려냈다.

안성탕면은 출시 3개월 만에 큰 인기를 끌었다. 이에 라면시장에는 ‘영남탕’, ‘호남탕’, ‘서울탕’ 등의 미투(모방) 제품이 잇따라 등장해 당시 안성탕면의 인기를 반증하기도 했다. 한국라면 역사 속에서 안성탕면은 너구리(1982년 출시)와 함께 ‘라면은 국물 맛’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처음 접목한 라면으로 평가받고 있다.

■ 인심 좋은 안성(安城)지명 그대로

안성탕면의 제품명은 경기도 안성의 지명에서 따왔다. 안성이라는 지명을 제품 이름에 끌어 쓴 것은 소비자들에게 친근감을 더해주기 위함이다.

예로부터 안성은 곡창지대, 우시장으로 소문난 지역이었으며, 유기가 유명해서 ‘안성맞춤’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던 인심 좋은 고장이었다. 농심은 안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은 점에 착안, 지명과 국물 맛을 강조한 라면 이름을 지었다.

안성탕면은 광고로도 유명세를 탔는데, 푸근하고 인심 좋은 어머니 이미지를 지닌 탤런트 강부자를 모델로 기용해 인기를 높였다. 강부자는 ‘허허허, 라면은 농심이 맛있습니다’라는 카피로 1985년부터 무려 8년 동안 광고모델로 활약했다.

■ 업계 1위 등극의 일등 공신!

농심이 라면 업계에 뛰어든 1965년에는 삼양식품이 주도권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시장에는 삼양라면과 롯데라면(농심)을 비롯해, ‘풍년라면’(풍년식품), ‘닭표라면’(신한제분), ‘해표라면’(동방유량), ‘아리랑라면’(풍국제면), ‘해피라면’, ‘스타라면’ 등의 제품이 경쟁을 벌이고 있었으나, 실상은 삼양식품이 8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부동의 1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1969년 들어 삼양식품과 농심만이 살아남아 두 기업이 경쟁을 벌이는 구도로 정착되었으나 삼양식품이 시장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농심은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이었다.

농심이 시장점유율 역전의 전기를 마련한 것은 안성스프전문공장에서 탄생한 안성탕면이다. 만년 2위 기업이었던 농심은 안성탕면 출시 이후 1년 6개월 만인 1985년 3월 마침내 점유율 40.4%를 기록하며 1위의 자리에 올라서게 된다. (2위 삼양식품 39.6%) 이후 농심은 꾸준한 신제품 출시와 기존 제품의 맛 개선 노력 등으로 2위 업체와의 간격을 더욱 넓혀 나갔다.

■ 대한민국 라면 1등 브랜드 역사: 삼양라면 → 안성탕면 → 신라면

대한민국 라면 역사에서 전체 시장점유율 1등의 영광을 누려본 브랜드는 몇 개일까? 60년 동안 무척이나 다양한 라면이 쏟아져 나왔지만 단 3개의 라면만이 정상을 밟아 봤다. 삼양라면과 안성탕면, 그리고 신라면이다.

첫 번째 일등 브랜드는 1963년 국내 처음 출시된 삼양라면이다. 라면이 무엇인지도 몰랐던 시절 무료 시식으로 라면 먹는 방법을 보급하고 첫맛을 들인 덕분이다. 삼양라면은 라면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안성탕면이 가세하기 전까지 20여 년 동안 1위를 차지했다.

1983년 출시된 안성탕면은 발매와 동시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다가 출시 4년 만인 1987년에 매출 442억 원, 점유율 12.9%로 삼양라면을 처음으로 제치고 시장 1위 브랜드로 올라섰다.

90년대 들어서도 이 같은 흐름은 지속됐다. 당시 언론보도(1990년 8월)에 따르면, “농심은 안성탕면, 신라면, 육개장사발면, 너구리, 짜파게티로 불리는 다섯 마리 용을 타고 시장 1위를 확고히 했다”고 전했다. 안성탕면은 15.5%의 점유율로 1위를 달렸으며, 신라면 14.0%, 육개장사발면 6.9%, 너구리 5.8%, 짜파게티 4.9%가 그 뒤를 이었다. 6위는 빙그레의 우리집 라면(4.7%)이 차지했다.(AC닐슨)

이후 안성탕면은 1991년 들어 ‘사나이 울리는 매운맛’ 신라면(1986년 출시)에게 1위 바통을 넘겨줬으며, 현재까지 라면시장 판매순위 TOP3에 이름을 올리는 메가브랜드로 입지를 다졌다.

■ 어떤 재료도 안성맞춤 ‘안성탕면’

어떤 재료와도 찰떡궁합을 선보이는 안성탕면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그림을 그려 넣을 수 있는 도화지 같은 라면’이라 불리며 특별한 사랑을 받고 있다.

실제로 온라인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은 안성탕면과 가장 잘 어울리는 재료로 꼽히는 계란과 파는 물론, 굴과 대게, 버섯, 매생이, 돼지 목살 등 각양각색의 재료를 넣어 안성탕면을 즐기는 모습을 자신의 SNS에 공유하고 있다.

농심 관계자는 “자체 진행한 시장 조사 결과에서도 평소 안성탕면을 즐겨 먹는 소비자의 90%가 안성탕면이 어떤 재료와도 잘 어울린다고 응답했다”라고 설명했다.

안성탕면은 옛날 시골 장마당에서 맛볼 수 있는 우거지 장국을 모티브로 개발한 제품이다. 즉, 된장이 국물 맛을 내는 기본 재료로 사용된다. 농심은 안성탕면이 어떤 재료와 만나도 최상의 궁합을 선보이는 이유가 바로 이 ‘된장’에 있다고 설명한다.

된장은 한국인이 가장 즐겨 먹는 식재료 중 하나로 각종 탕과 찌개 요리의 국물 맛을 내는 데 널리 사용된다. 특히, 육류나 해산물과 함께 사용하면 특유의 잡내와 비린내를 잡아주며 재료 본연의 맛을 더 잘 살려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된장을 기본 베이스로 사용한 안성탕면이 어떤 재료와도 잘 어울리게 되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