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이은광 기자] 2021년 건설업계 도급순위 3위인 GS건설이 3년간 가장 많은 하자가 접수된 건설사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허종식 의원실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분조위에 접수된 하자는 GS건설이 2,818건으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 건설사의 평균(795건)의 3.5배 수준이라 밝혔다.
단순히 대형 건설사이기 때문에 하자건수가 높은 것이 아니라, 건설 규모에 비해서도 GS건설의 하자건수는 최상위권이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시공능력평가액 1조 원당 하자건수는 HDC현대산업개발이 99.6건으로 가장 높았고, GS건설이 94.6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같은 규모의 공사를 해도 GS건설은 상위 10개사 평균 대비 3.4배의 하자발생률을 보였다고 소비자주권시민연대는 지난 5월 18일 밝혔다.
하자유형별로 살펴보면 GS건설에서는 결로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최근 3년간 상위 10개 건설사에서 결로는 평균 331.6건 발생했으나 GS건설에서는 그 5.8배인 1930건이 발생했다.
그 다음으로 빈발한 하자유형은 작동불량(59건)으로, 절대건수는 적지만 평균 대비 3.3배로 높은 발생률을 기록했다. 기타소음은 평균의 3.5배, 배관소음은 평균의 4.8배 발생해, GS건설이 시공한 건물의 소음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GS건설이 해당 아파트를 당장 전면철거하고 재시공해야 한다고 12일 밝혔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사람에 비유하면 200여개의 뼈 가운데 발가락뼈 9개가 없는 셈"이라며 "정상적으로 버티고 서 있기 어려운 건물이라는 뜻이다.
GS건설이 진행한 조사 결과 지하주차장 지붕층 700여곳 중 30곳가량에서 철근이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사고가 발생한 아파트에 불량 콘크리트를 사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현장에 콘크리트를 납품한 업체 가운데 최근 3년간 레미콘업체 품질관리 실태점검에서 3곳이나 부적합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주요 부적합 사유로는 잔골재 표면수율 관리 미흡, 염화물 기준치 초과 등이었다.
한 입주 예정자는 "주말 밤에 지하주차장만 붕괴해서 다행히 인명 피해가 없었지만 입주 후 무너졌다면 대형사고였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GS건설의 안일한 태도도 문제삼았다. 시공사 GS건설은 사고 직후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책임을 떠넘기다 사건 발생 열흘이 지나서야 시공 과실을 인정했다.
GS건설은 현재 시공되고 있는 전국의 83개 아파트 건설현장의 정밀안전점검을 진행하겠다고 약속했다. 문제는 이미 준공된 아파트는 점검에서 제외된다는 것이다.
GS건설은 지난 3년간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접수된 신고가 573건으로 주요 건설사 가운데 가장 많았다.
신고 가운데 GS건설의 세부 하자로 인정된 것은 2818건이나 된다. 이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GS건설이 최근 10년간 시공한 아파트의 안전성에 대해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건설워커에 의하면 GS건설은 2022년 8월 1일 부터 2023년 7월 말까지 국내건설공사 수주액은 9조 56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을 대상으로 대규모 건설 실적을 올리면서도 안전관리에는 소홀하다는 게 시민단체의 지적이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GS건설은 위험한 아파트를 짓는 것을 당장 멈춰야 한다"며 "GS건설이 시공한 아파트에 대한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고 입주예정자들에게 충분한 보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GS건설 임병용대표는 “당사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Global Top Tier 건설사로 도약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 주력사업에서의 성과 뿐만 아니라, 신성장 사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 나가고 있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