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지난해 총 10만338대의 전기차가 등록(신차등록 중 6%)됐고, 이 중 국내 제조차량은 7만4393대로 74.1%를 차지했다고 22일 밝혔다.

특히 전기승용 차량의 지난해 국내 비중(제조율)은 아이오닉5(2021년 4월 출시), 이브이(EV)6(2021년 8월 출시) 등이 판매 호조를 보이며 64.5%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년도(2020년) 전기승용차량 국내 제조율인 47.6%보다 크게 상승했다.

이와 관련 환경부는 일본, 중국, 독일 등 다른 나라 사례와 같이 우리나라의 전기차 보급 여건을 적극 반영, 전기차 보조금체계를 다양하게 개편·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연교차가 큰 우리나라 기후특성상 2020년부터 저온 주행거리, 전비 등 성능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화 해왔고, 국내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해 올해부터 제조·수입사 대상 배터리의 잔존가치 평가에 필요한 정보 제공을 의무화했다.
국내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발생은 2022년 2,907개가 발생되었으며, 2023년에는 5,914개,2024년에는 13,826개가 발생된다.
또한 국내 전기차 보급을 위해 시행 중인 저공해차 보급목표제에 참여하는 기업에 최대 70만원의 추가 보조금을 지급, 확대 중이다.
2021년에는 6천만원 미만차량은 100%가 지원되었으며, 6~9천만원 미만 차량은 50%, 9천만원 이상차량은 미지원 되었다. 2022년에는 5천5백만원 미만 차량은 100%지원, 5천5백~8천5백만원 미만 차량은 50%지원, 8천5백만원 이상차량은 미지원 된다.
이 밖에 전기차 가격에 따라 보조금 지급률을 달리 적용, 고가 전기차 보다 고성능 보급형 전기차 중심으로 지원 중이다.
환경부는 앞으로도 국내 전기차 보급 여건, 해외 사례 등을 토대로 전기차 경쟁력 강화, 재생에너지 사용 촉진 등에 기여하도록 보조금체계를 적극적으로 개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1월27일 확정된 2022년 전기차 보조금 지침에 따라, 올해 총 20만7500대를 보급할 계획이며, 올해 국내 제조율은 지난해보다 상향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의 신기술(외부급전기능 등) 활성화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으로 활용(분산에너지)하는 등 필요한 제도 개선을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적극 협의하면서 보조금 체계에 반영할 예정이다.
한편 IEA의 세계 전기차 시장 현황 보고 및 전망보고서 에서 2020년 전 세계 전기차 누적 보급대수는 전년 대비 43% 증가하여 1천만 대를 웃돌았다고 발표했다.
2030년까지 전 세계 전기차(이?삼륜차 제외) 보급대수가 연간 30% 성장하여, 2030년 누적 보급대수가 1억 4,5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며, 지속가능개발 시나리오(Sustainable Development Scenario, SDS)에서는 이?삼륜차를 제외한 전 세계 전기차 누적 보급대수가 2025년에 7,000만 대, 2030년에는 2억 3,000만 대에 달해 총 자동차 보급대수의 1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