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정사업본부가 '공공마이데이터' 활용을 본격화하면서 금융권 최초로 우체국에서는 별도의 증명서류를 내지 않아도 서민지원예금상품을 가입할 수 있게 됐다.
이전까지 기초생활수급자는 기초생활수급증명서, 소상공인은 중소기업확인서 등을 제출해야만 예금상품을 가입할 수 있었다.
우본은 26일부터 국내 금융권 최초로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해 '서민지원예금상품 간편 가입'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우체국 창구에서 고객이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만 하면 가입 자격 등을 즉시 조회해 별도의 서류 제출 없이 상품 가입이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다.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이웃사랑정기예금 등 서민지원예금상품에 가입하려면 보건복지부에서 발급하는 기초생활수급증명서를 직접 제출해야 했지만, 개인정보 동의만 하면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다.
가입 시 기초생활수급증명서, 주민등록초본, 한부모가정 증명서, 중소기업 확인서(소상공인, 소기업), 사업자등록증명원을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손승현 우정사업본부장은“고객 편의성과 만족도를 위해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간편 가입 서비스를 지속해서 확대하겠다”라면서 “비대면 가입 활성화를 위해 향후 모바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1일부터 금융회사 및 핀테크 등이 순차적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 시범운영에 참여하여 '22.1.5일 기준 33개사 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방식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올해 1월 1일부터 전면시행됐다. 기존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다른 금융사 고객 정보를 수집할 때 고객 동의 아래 화면에 출력된 개인정보를 긁어오는 '스크래핑' 방식으로 제공됐다. 앞으로는 이 방식이 금지되고 별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금융기관이 제3의 업체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API 방식 적용이 의무화된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란
소비자가 각종 기업, 기관에 흩어져 있는 자신의 신용 정보를 특정 마이데이터 사업자에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동의한 뒤 이들 업체에서 자신에게 유용한 맞춤형 서비스를 받는 것을 뜻한다.
소비자가 은행, 보험사, 카드사 등 금융 회사에 나의 신용 정보를 특정 마이데이터 업체에 제공해도 된다고 허락하면 업체는 개인의 은행 입출금 내용부터 대출 현황, 카드, 보험, 금융 투자, 통신 이용 기록, 부동산, 자동차 등 다양한 정보를 취합해 소비와 자산을 관리해주고 적합한 금융 상품도 소개하는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

예컨대 마이데이터 업체가 나의 평소 씀씀이를 분석해 할인, 적립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신용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소비자들에게 일종의 '금융 비서'가 생기는 셈이다.
금융권 마이데이터 사업이 본격 서비스를 시행한지 한 달 가까이 돼가는 가운데, 혁신적인 전략이 부재하다는 게 업계와 사용자의 지배적인 의견이다. 금융당국도 1~2월은 마이데이터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안착하는데 집중하고, 이후부터 업권별 정보 제공 제한을 풀어 공정 경쟁을 유도할 방침이다.
25일 배진교 정의당 의원실이 금융위원회에서 제출받은 '마이데이터 서비스 가입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마이데이터 서비스 가입자(1084만명) 중 핀테크·정보기술(IT)·신용평가(CB) 업권의 마이데이터 가입자가 398만명으로 1위를 기록했다. 카드 업권(327만명), 은행·저축은행·상호금융 업권(315만명), 금융투자 업권(44만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금융당국은 올해 상반기 내 충분한 마이데이터 시스템의 안정화 검토를 거친 뒤 업권별 정보 제공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5일 마이데이터 서비스 본격 시행 이후 금융당국과 각 업권별로 시스템의 안정화, 정보제공 확대 요구 등을 중심으로 활발한 의사소통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올해 상반기 내 충분한 마이데이터 시스템의 안정화 검토를 거친 뒤 업권별 정보 제공을 확대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소비자 입장에서 다양한 정보들이 제공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며 "1~2월은 시스템 안착에 중점을 두고, 이후 퇴직연금(DB·DC)·카드사 환불정보 등 금융권 정보뿐 아니라 구체적인 쇼핑 결제내역 등 빅테크 정보도 확대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