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새로운 플랫폼화를 추구하는 AI 인프라 생태계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이들의 투자를 받는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초거대 모델 개발 및 초거대 모델 기반 비즈니스 창출 확대하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대규모 자본과 투자를 바탕으로 최고 수준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고 방대한 데이터 축적, 컴퓨팅 파워 활용 등으로 AI 개발에 우위 선점 대고 있다.
특히, 빅테크 기업은 막대한 자본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AI 알고리즘에 두각을 나타내는 스타트업에 적극 투자함으로서 경쟁력을 지속 확장하고 있다. 구축된 초거대 AI 인프라를 기반으로 새로운 비즈니스를 직접 창출하거나 플랫폼화를 통해 자사 AI 인프라 기반의 새로운 AI 생태계를 만드는 전략 진행 중이다.
자본 집약화 및 데이터 자본화가 화두가 되는 AI 인프라는 초거대 모델에 기반한 생성형 AI의 등장과 확산은 지금까지 와는 다른 AI 분야의 경쟁 환경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성능이 클라우드 리소스, 데이터 규모, 그래픽 칩 개수 등 자본 투입에 의존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개발비 이외 서비스 출시 이후 운영비용이 과거 AI 서비스와는 다른 수준으로 발생하며 개발 및 운영비용의 막대한 증가로 인해 초거대 모델 이용에 대한 유료화가 불가피하다.
데이터에 대한 폐쇄성 및 자본화는 과거 언어 분야는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기업들은 온라인상에 공개된 데이터를 가져다 학습 데이터로 사용한다. 초거대 AI 기반 언어모델이 인프라화·유료화 됨에 따라 온라인상 공개된 데이터를 쓰는 일이 어렵게 변해가고 있으며 신생 스타트업, 학계 등에게 부담이자 진입장벽으로 작용한다.
주요국은 국가 인프라로서 AI 확대를 위한 전략 수립 중이다. 민간을 중심으로 한 AI 생태계 속에서 각국 정부는 국가 인프라로 AI 중요성을 인식, 국가별 환경에 맞는 전략 고민 중이다. AI가 국가의 사회적·경제적 활동의 기반이자 핵심 수단으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AI를 국가 핵심 인프라로 인식하고 투자·개발·관리하려는 움직임 부상하고 있다.
각국 정부는 국가 핵심 인프라로서 AI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 국가의 기술적·사회적·경제적 환경에 맞는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
주요국은 공공 영역에서의 AI 활용을 국가 AI 전략 중 하나로 제시하며, 공공서비스 개선과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AI 활용을 확대하는 중이다. 공정성, 파급력 등 공공서비스의 특성으로 인해 AI 활용은 특별한 주의를 요구하며, EU가 발의한 「인공지능법(안)」등을 중심으로 제도적 프레임워크가 정립될 것으로 전망이다.
기본적인 법적·윤리적 프레임워크와 더불어 AI 영향평가, AI 알고리즘 레지스터, AI에 의한 피해 구제 등 구체적인 정책적 절차도 필요한 상황이다. 공공서비스에 AI를 적극 활용하고 확산하기 위해 다른 핵심 인프라와 동일하게 법, 제도, 정책, 표준 등의 기반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