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로봇산업”… 스마트 물류

협동 로봇 활동 영역의 물류 산업 확장
로봇 운영의 다중 제어 및 시스템화
AI 장착으로 로봇의 지능화, 고도화 달성 강화
제조 라인의 무인화와 유연화 병행 발전

  • Editor. 김맹근 기자
  • 입력 2024.02.22 07:43
  • 수정 2024.02.22 07: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 pixabay
사진 : pixabay

[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스마트 물류의 최신 인사이트는 다음의 5가 지로 요약할 수 있다. 협동 로봇 활동 영역의 물류 산업 확장, 로봇 운영의 다중 제어 및 시스템화 경향, 탄소 중립과 미래의 일자리 주제 등 글로벌 어젠다 대응 솔루션으로 역할 증대, AI 기술의 장착으로 로봇의 지능화와 고도화 달성 추세 강화, 스마트 물류 및 제조 라인의 무인화와 유연화 운영시스템 병행 발전이다.

협동 로봇 활동 영역의 물류 산업 확장

로봇이 많이 활용되던 전통적인 제조 현장, 즉 대량 소품종 특성을 지닌 전통적인 제조 업 종에서는 로봇에 조립, 절단, 용접, 도장, 단순 운반 등 정해진 작업 공정을 사람 대신 수행하고 작업 성과의 고효율성을 달성하는 역할을 요구했다. 주로 단위 작업에 대한 로봇 기능의 완성 도를 높이는 데 초점이 있었다.

반면 최근에는 스마트 물류의 영역 확대와 함께 자율이동 로봇(Autonomous Mobile Robot : AMR)을 중심으로 공장내 물류 작업과 물류 센터내 자동화 공정까지 로봇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택배 작업에서 물건을 내리는 디배닝(De-vanning), 컨베이어에 박스를 내려놓는 디 팔레타이징(De-palletizing), 일정한 규칙에의 한 박스 쌓기를 하는 팔레타이징(Palletizing), 공장내 무인 반송 등의 공정에서 다양한 업무를 로봇이 감당해 내고 있다.

로봇 운영의 다중 제어 및 시스템화

과거 여러 물류 산업 현장에서 로봇 기술의 진 화 경향을 지켜보면 그동안 로봇 기술이 단위 기 계(로봇)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집중되어 있었 다. 이와 달리 최근에는 로봇 운영이 시스템화 되어가고 있다.

향후 전개될 것으로 보이는 반도체 모기업 테라다인의 주요 로봇 계열사인 미르(MiR)의 AMR과 유니버셜로봇(UR)의 다관절 수직 로봇 팔과의 연동은 로봇 운영의 시스템화 경향을 더 분명히 보여줄 미래의 성공 사례가 될 것이다. 이 밖에 가와사키중공업의 소형 로봇(머리+양팔형 다관절 로봇) ‘토로스’가 AMR과 결합해 일상 공간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AI 장착으로 로봇의 지능화, 고도화 달성 강화

과거 로봇 공학은 기계 공학 중심의 성능 구현 및 효율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이제는 시각 및 자연어 처리 등과 같은 AI 기술을 로봇에 장착하는 연구가 진행됨으로써 향후 전개될 미래 로봇의 주행 정밀도와 운영 효율성 향상이 눈에 띄게 발전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협동 로봇 선도 기업인 테크맨 로봇은 자체 개발한 머신 러닝 방식의 시각 AI를 탑재한 AI 협동 로봇 솔루션을 개발했다. 머신러닝 AI를 이용해 물체의 위치, 모양, 각도 등을 측 정한 후 대상 물체를 최적의 상태로 핸들링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산업용 로봇 선두 주자인 일본 화낙은 머신러닝 AI를 통해 티칭(Teaching) 기능을 향상한 협동 로봇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제조 라인의 무인화와 유연화 병행 발전

현재 스마트 팩토리의 무인화 경향은 매우 뚜렷하다. 예를 들어 오므론은 ‘모노즈쿠리 (I-Automation)’ 콘셉트를 통해 반도체 라인의 부품 조립 라인을 완전 로봇 작업으로 무인화하 거나 웨이퍼 적재 카세트를 로봇 팔과 AMR을 이용해 완전 무인화하고 있다. 또 사람과 로봇이 함께 작업하는 플렉서블 제조 라인 콘셉트를 통해 키팅(Kitting)과 박스 라벨링을 제외한 모든 공정을 로봇이 수행하는 최적의 반자동 공정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제조 현장의 미래 현상을 준비하는 좋은 모델이다. 앞으로도 제조 라인의 무인화와 유인화는 동시에 발전해 갈 것이며 인간 혼자만으로 혹은 기계 혼자만으로는 존재할 수 없는 사회가 올 것이다.

결과적으로 가치 창출과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오퍼레이션 매니지먼트는 재무, 영업과 함께 기업의 3대 기능 중 하나다. 특히 최근 많은 기업에서 오퍼레이션 분야 트렌드가 스마트 물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