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세계 인구 증가 및 대도시 인구 과밀화로 인한 지상교통수단의 한계에 와있다. 뉴욕, 런던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은 인구 과밀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심 내 환경, 주거, 교통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을 하고 있다. 교통수단 포화로 인한 인프라 부족 및 교통혼잡은 사회적 비용 증가 뿐만 아니라 환경, 주거 등의 문제도 동반하고 있어 각국은 도심 교통수단을 통한 문제해결 노력을 지속해가고 있다.
도심 교통・환경 문제를 획기적 개선할 수 있는 항공모빌리티 플랫폼인 UAM(Urban Air Mobililty, 도심항공교통)이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UAM의 시발점으로 볼 수 있는 개인용항공기(Personal Air Vehicle, PAV)는 도심 내 교통체증을 해소가 목적인 소형항공기 프로젝트로 추진 중이다. PAV는 자동차처럼 자기 집에서 출발하여 원하는 목적지 어디든 갈 수 있는 개인 소유의 비행체로 Point to Point 또는 Door to Door 개념의 비행체이다.
도심항공교통(UAM)은 PAV와 같은 항공 플랫폼을 활용하여 도심 내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교통체계를 통칭한다. UAM 운용을 위해서는 기체뿐만 아니라 UAM 운용자(UAM operator), UAM 비행장 (UAM aerodrome/Vertiport), PSU(Provider of Services for UAM), SDSP(Supplement Data Service Provider) 등으로 구성된다. 미래 모빌리티 비전은 도심 항공 모빌리티, 목적 기반 모빌리티, 모빌리티 환승 거점 등 세 가지 구성 요소의 연결성을 제시한다.
UAM 구현을 위한 전략 수립
주요 선진국들은 시장 선점을 목적으로 UAM 구현을 위한 체계적 전략 수립은 미국 NASA 및 FAA 주도로 UAM 기술・기반 확보를 주도하고 있으며, UAM에서 화물 운송을 포함한 AAM 개념을 제시하는 등의 선도적 행보를 보인다.
중국은 드론산업 육성정책을 통해 DJI 등을 비롯한 소형 드론업체들이 세계시장을 차지하고 있으며, 드론 산업・기술 기반으로 EHang을 드론택시 시범업체로 선정하는 등 상업화에 정부가 집중 지원하고 있다. 규모의 경제와 400여 개의 드론 산업의 supply chain 토대로 제조 생태계가 완성되어, UAM 생태계 기반 조성이 이미 마련되었다.
EU는 EASA는 ‘Artificial Intelligence Roadmap 1.0’에서 ’35년 무인비행 본격화를 전망하고, 정책적 측면에서 자율비행에 필요한 가이드라인 등에 대한 수립계획 마련한다.
UAM 선도국가 도약 및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 발표를 시작으로 K-UAM 생태계 구현을 위한 다부처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K-UAM 로드맵) ’25년 UAM 상용서비스 시작 및 ’30년 본격 상용화를 위해 단계별 목표, 추진전략 등을 포함한 정책로드맵 발표했다.
K-UAM 그랜드챌린지는 한국형 UAM 운항기준 마련을 위한 민관합동 실증사업으로 22년부터 24년까지 추진 예정이다. 준비(0단계, ’20년~’21년), 개활지 테스트(1단계, ’22~123), 수도권 실증노선 테스트(2단계, ’24년) 등 ’25년 상용화 목표로 우선 준비하고 있다.
UAM 시험비행은 UAM의 대중 수용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토부 주관으로 Ehang社와 협력하여 총 ’20년 11월 한 달간 3회 시험비행을 실시했다. EHang社의 EHang 216 기체로 서울, 대구, 제주에서 시험 비행을 함으로써 UAM에 대한 대중 이해와 수용성을 증진했다.
기술로드맵 수립의 필요성
국가R&D사업 추진 및 성과 제고를 위한 효율적 R&D 투자 전략 수립한다. 국가R&D사업 예산 규모의 지속적인 확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R&D 성과 부족에 대한 지적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국가R&D사업의 성과 및 효율성을 증대를 목적으로 미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이 필요한 기술 등을 제시하는 기술로드맵 수립을 선행되어야 한다.
정부는 기술 전략 제시, 성과제고 등을 위해 R&D 투자전략(로드맵) 수립을 추진했으며, 미래 유망분야인 UAM도 국가R&D 추진을 위해 기술로드맵 필요하다. 따라서 부처별 R&D사업 간 협력 및 연계 강화를 위해 범부처 기술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다. UAM은 기체・부품 제작, 항법・정보・통신 장비, 건축・건설 등 인프라, 운송・MRO・플랫폼 등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가 유기적으로 조화되어야 실현이 가능하다.
’30년 상용화 시점에 맞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구현・운용을 위해 부처 간 시너지 극대화 및 기술개발을 위해 UAM 통합 핵심기술 확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UAM 상용화 실현을 위한 기체개발・제작 기술, 항행・교통관리 및 CNSi 기술, 이착륙장 등의 인프라 구축・운용 기술 등 부처별 고유 업무와 관련된 기술을 통합 발굴한다.
국토부는 UAM 신기술 부문 기체・부품 인증체계, MRO, 운송・운용・운항기술, 교통관리 체계 중심, 과기부는 자율비행 및 소음 등 미래 소요기술, 사회적 수용성 관련 핵심 원천기술, 과기부는 자율비행 및 소음 등 미래 소요기술, 사회적 수용성 관련 핵심 원천기술, 산업부는 UAM 기체 및 부품 제작・생산 중심 기술, 중기부는 중소기업 육성 기반 UAM 부품 및 시스템 등의 제작・생산 관련 기술, 기상청은 UAM 운용을 위한 도심 기상 관측, 분석・예측 등의 기상 관련 기술의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30년 상용화 목표 달성을 위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수요 기반의 UAM 기술 도출 및 획득전략 마련하고, UAM 기술 선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통합 기술개발 프로젝트 추진에 필요한 기술개발 전략 확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