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호주 UNSW, 적외선 복사열로 전기 생성…야간 태양광 발전 기술 선보여

  • Editor. 송민경 기자
  • 입력 2024.10.04 0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디지털비즈온 송민경 기자]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UNSW) 연구진이 적외선 복사열을 활용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루었으며, 밤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연구진은 강조했다. 이는 기존의 태양광 패널이 햇빛이 없는 밤에는 작동할 수 없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로 평가된다.

(사진=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UNSW 연구원들은 밤에 얼마나 많은 방사선이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시드니 항구의 적외선 이미지를 촬영했다.
(사진=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UNSW 연구원들은 밤에 얼마나 많은 방사선이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시드니 항구의 적외선 이미지를 촬영했다.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연구진은 새로운 장치가 지구 대기에서 외부 우주로 사라지는 열 차이를 포착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을 이끈 네드 에킨스-도크스(Ned Ekins-Daukes) 교수는 A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개발한 반도체 장치는 지구가 방출하는 복사열을 활용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장치는 태양광 패널과 유사하게, 높은 온도의 태양빛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더 차가운 환경으로 적외선 빛을 방출하면서 전기를 생성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장치는 현재 실험실 크기로 제작되었으며, 실제 가정용 전기 설비에 비해 약 10만 배 적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이 상용화되면, 적어도 밤 동안 소형 전자기기나 Wi-Fi와 같은 저전력 장치를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 연구자인 피비 피어스(Phoebe Pearce) 박사는 "이번 실험이 첫 번째로 성공한 사례인 만큼, 최대 효율을 목표로 하지는 않았다"고 언급했다.

그녀는 또한 "태양광 셀이 태양의 높은 온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성하는 것처럼, 이 장치는 차가운 환경으로 복사열을 방출하면서 전기를 만든다"고 덧붙였다.

에킨스-도크스 교수는 "물리학적 한계로 인해 이 기술이 태양광 셀의 전력 생산량에 비해 약 10분의 1에서 100분의 1 정도의 전력만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그러나 우리가 자는 동안에도 소량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는 우리가 깨어 있을 때 사용하는 전기와는 다른 시점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다음 단계는 이 장치를 우주선이나 위성에 적용해 우주 환경에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몇 년 내에 이 장치를 위성에 탑재해 우주에서 실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책임자인 마이클 닐슨(Michael Nielsen) 박사는 "현재 이 장치는 실험실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이를 지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닐슨 박사는 "우리가 사용하는 적외선 복사열 기술은 고급 야간 투시경에 사용되는 기술에서 영감을 받았다"며, "해당 기술을 역으로 사용해 열 복사 방출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팀은 호주의 과학계에서 '과학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ANSTO 유레카상(Eureka Prize)에서 혁신적인 기술 활용 부문 후보로 지명되었다. 유레카상은 호주 내 55명의 결선 진출자를 대상으로 19개의 상을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으로, 이번 연구의 잠재력이 높이 평가되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