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IDC는 최근 전 세계 인공지능(AI) 시장규모가 ‘22년부터 연평균 18.6% 성장하여 ‘26년에 약 9,000억 달러(한화로 약 1,220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참고로, 이는 우리나라 총생산규모(GDP; ‘21년 기준 2,072조 원)의 절반을 넘을 만큼 큰 규모이다.
국내 AI 시장규모의 경우에도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동 기관에 따르면, 국내 AI 시장은 ‘20년 약 8,072억원 규모이며, ‘25년 약 1조 9,074억원 규모로 성장(연평균 15.1%)할 것으로 추정된다. 동 기관의 타 분야에 대한 전망(‘25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빅데이터 및 분석 시장 6.9%,4) IT서비스 시장 2.5%, 웨어러블 시장 3.5% 등)과 비교해보면, 국내 AI시장의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AI 주력기업 현황
국내 AI 주력기업은 대체로 규모가 작은 신생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기업의 업력별 분포에서 5년 이하인 경우가 절반 이상(61.1%)을 차지하며, 6~9년 이하인 경우가 그 다음(17.5%)으로 많았다. 즉, 전체 AI 주력기업 중 78.6%가 10년 미만인 기업이라는 것이다.
둘째, 인력규모별 분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는 10~50인 미만(46.2%)이며, 그 다음은 10인 미만(37.1%)인 경우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가 100~500인 미만인 경우는 전체기업 중 6.5%으로 확인되었으며, 500인 이상인 기업은 확인되지 않았다. 기업당 평균 인력 수는 ‘20년 기준 27.6명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매출규모별 분포에서는 1~10억 미만인 경우가 가장 큰 비중(40.1%)을 차지하고, 10~100억 미만인 경우가 차지하는 비중 (34.7%)이 그 다음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AI 주력기업 중 15.9%는 매출액이 1억 원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매출액이 1,000억 이상인 기업은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개발 현황 및 주요 응용 산업분야는 국내 AI주력기업의 대다수(99.2%)는 연구개발 활동에 투자를 하고 있으며, 전체 연구 개발 투자 규모는 최근 3년 간(‘19~‘21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개발비는 ‘19년 약 4,443억 원에서 ‘21년 약 8,172억 원으로 증가(연평균 35.6% 성장)하였다. AI 부문 연구개발비에 한정하면, ‘19년 약 3,922억 원에서 ‘21년 약 7,448억 원으로 증가 (연평균 37.8% 성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AI 주력기업들은 자신들의 대표 제품/서비스가 주로 응용되는 산업분야로 정보통신업 (33.1%)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제조업(22.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7.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10.3%), 금융 및 보험업(9.9%) 등의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비즈니스 애로사항으로는 국내 AI 주력기업은 사업 운영상 애로사항으로 ‘AI 인력부족’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시장의 협소성(67.7%)’, ‘기술개발 및 사업화의 불확실성(66.0%)’, ‘투자 유치의 어려움(65.4%)’, ‘데이터 확보 및 품질 문제(62.1%)’ 등의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결론적으로 「2021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AI 주력기업의 현황을 살펴본 내용이다. AI를 주력분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국내 기업의 대부분은 초기 성장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기업은 매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투자 또한 확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국내 AI 주력기업들은 사업 운영과정에서 여러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점 또한 확인되고 있다. 물론 대부분이 초기 성장단계인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는 AI 주력기업의 집단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애로사항에 대해 동의(‘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는 기업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은 AI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유망산업인 AI 분야의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국내 AI산업 성장을 주도할 AI 주력기업의 역할이 중요한 바, 이들 기업이 초기 성장단계를 넘어서서 경쟁력 있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정책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