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세종대,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비의대 종합 대학 중 국내 1위’

생애업적 기준 41명·한 해 기준 65명 선정… 의대 없이도 글로벌 연구 경쟁력 입증

  • Editor. 이현주 기자
  • 입력 2025.10.17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가 글로벌 학술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의 Scopus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표한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리스트’에서 비의대 종합 대학 중 국내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리스트는 1960년부터 2024년까지의 논문 실적을 종합 평가한 ‘생애업적(career-long)’ 기준과 2024년 단일 연도 실적을 평가한 ‘한 해(single-year)’ 기준으로 나뉘며, 세종대는 생애업적 기준에서 총 41명의 연구자가 세계 최상위 2%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의대를 보유하지 않은 국내 종합 대학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이번 순위는 엘스비어의 Scopus 인용 데이터로 산출됐다. 단순 인용 합계가 아니라, 스탠퍼드대 존 이오아니디스(John P. A. Ioannidis) 팀이 만든 복합 지표 ‘c-score’를 쓴다. c-score는 △총 인용 △h-index △공저 보정 hm-index △단독 저자·제1저자·교신저자 위치별 인용 등 여섯 가지 인용지표를 표준화해 합성한 것이다.

국내 대학의 연구 역량은 일반적으로 의대와 부속병원의 존재 여부에 크게 좌우된다. 이번 순위에서도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이 의대와 대형병원 연구진의 방대한 논문·인용 실적에 힘입어 순위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세종대의 성과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의대 없이도 40명 이상의 연구자가 세계적 영향력을 인정받은 것은, 세종대가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의 집중 투자와 연구 환경 개선을 통해 독자적인 연구 생태계를 구축했음을 보여준다.

세종대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의대 없이도 세계적 연구 경쟁력을 갖춘 대학이라는 이미지를 확고히 했다. 향후에는 융합 연구, 국제 공동 연구 확대, 그리고 신진 연구자 육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엄종화 총장은 “세종대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연구 인프라를 확충하고, 우수 연구자 유치와 지원에 힘써왔다. 의대가 없는 구조적 한계를 뛰어넘어 세계적 연구 성과를 인정받은 것은 우리 대학 구성원 모두의 노력의 결과”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연구 경쟁력을 갖춘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Sejong University Ranks No. 1 Among Korean Comprehensive Universities without Medical Schools in the World’s Top 2% Scientists List

Sejong University (President Eom Jong-hwa) has ranked No. 1 among comprehensive universities in Korea without a medical school in the “World’s Top 2% Scientists List” released by Stanford University based on Scopus data provided by Elsevier.

The list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areer-long”, which evaluates research performance from 1960 to 2024, and “single-year”, which assesses performance for 2024 only. A total of 41 Sejong University researchers were listed in the career-long category — the highest number among all Korean comprehensive universities without a medical school.

The ranking is based on citation data from Scopus, using a composite citation indicator (c-score) developed by John P. A. Ioannidis and his team at Stanford. The c-score is calculated by standardizing and combining six key citation metrics: total citations, h-index, co-authorship–adjusted hm-index, citations to single-author papers, citations to single or first author papers, and citations to single, first, or last author papers. as single, first, or corresponding author.

In Korea, the research capacity of universities is generally influenced by whether they have medical schools and affiliated hospitals. In this year’s list, most of the top-ranking universities benefited from the extensive publication and citation output of their medical faculty and hospital research staff.

Against this backdrop, Sejong University’s performance stands out. Having more than 40 researchers recognized for their global impact without a medical school demonstrates the university’s Despite not having a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has more than 40 researchers recognized for their global impact, demonstrating its successful strategy of investing in basic science and engineering and building an independent research ecosystem.

Building on this achievement, Sejong University has further strengthened its image as a university with world-class research competitiveness. Going forward, the university aims to accelerate its growth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nurturing early-career researchers.

President Eom Jong-hwa stated, “Sejong University has continuously expanded its research infrastructure and focused on attracting and supporting outstanding researchers.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not having a medical school and achieving global research recognition is the result of the collective efforts of our university community. We will continue to provide strong support to become a university with world-leading research competitiveness.”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