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교육환경보호원 원장 공모 지연 논란…“임기 만료 후 독단 운영”

후임원장 공모 연기·보수 인상·인사 강행 등 내부 문제 지적, 기관 정상화 필요

  • Editor. 이은광 기자
  • 입력 2025.08.28 14:49
  • 수정 2025.08.28 14: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사진=한국교육환경보호원 홈페이지 캡처
▲ 사진=한국교육환경보호원 홈페이지 캡처

[디지털비즈온 이은광 기자] 한국교육환경보호원에서 현 원장의 임기 만료 이후 후임원장 공모가 지연되고, 스스로 보수를 인상하며 인사권을 행사하는 등 독단적 운영이 이어지고 있다는 내부 제보가 나왔다. 

지난 3월 20일부터 진행 중인 후임원장 공모는 이사회 회의가 비공개로 연기·보류되는 등 의사결정 과정이 투명하지 않아 기관 정상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교육환경보호원은 원장 1명을 상근 임원으로 선임하기 위해 3월 20일부터 후임 원장 공모를 진행 중이다. 임원추천위원회는 3인의 후보자를 의결했으며, 이후 이사회와 교육부 장관의 승인을 거쳐 최종 선임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현 원장(전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장)은 임기 만료일(2025년 1월 1일) 이후에도 계속 자리를 유지하며 공모 과정에 개입했다.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현 원장은 “후임원장 선임 시까지 오래할 수 있다”라며 공모를 지연시키고, 탄핵 선고 이후에는 특정 정치권 인사의 개입을 시도하며 의사결정을 보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회 운영 과정에서도 문제가 드러났다. 5월 14일 임시이사회는 잠정 연기됐고, 6월 2일 갑작스럽게 개최되었으나 의결은 보류됐다. 

이후 7월 24일 재공모가 결정되었으며, 대부분 회의가 비공개로 진행됐다.

임기 만료 이후 현 원장은 본인 보수를 스스로 인상하고 매달 지급받았으며, 별정직 직원의 연장과 승진 인사도 강행했다. 이로 인해 공공기관 규정과 제도가 무시되고, 기관 운영이 원장의 의지에 좌지우지되는 등 공공성이 훼손됐다는 내부 지적이 나왔다.

국회 상임위 관계자는 “원장 공모 관련 사항을 경영기획팀에 문의하는 직원조차 원장에게 보고하도록 하는 등 폐쇄적 운영이 이어지고 있다”며, “기관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