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비즈온 이은광 기자] 국내 최대 규모 ‘환경·탄소중립 기술 전시회인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 ‘ENVEX2025’가 국내외 13개국 262개 해외기업을 포함한 총 626부스 기업의 우수한 녹색․환경산업 관련 기술을 소개하고, 국내 관련 기업의 판로개척 및 성장지원을 위한 ‘제46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엔벡스 2025)가 11일 개막식을 갖고 13일까지의 일정에 돌입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보전원(원장 신진수)은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 신진수 환경보전원장,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유형주 한국수자원공사 부사장, 송병억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 김영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직무대행, 강경성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장, 김동진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 공제조합 이사장, 이명환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이사장 등 내외빈이 참석한 가운데 ‘제46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이하 엔벡스 2025)’개믹식을 개최했다.
우수 녹색 중소기업의 내수 활성화와 수출기반 마련을 위한 국내 최장수·최대 규모 환경전시회인 ENVEX(엔벡스) 2025는 1979년에 시작하여 올해로 46회를 맞이해 국내 환경산업 관련 기술전시회 중 가장 역사가 긴 전문 전시회로 평가되고 있다.
전시회 주요특징은 해외발주처·바이어 약 80개사 초청 상담회인 GGHK 동시 개최, 개도국 공무원 초청 B2G 자문 상담회 확대로 녹색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판로개척 및 공공 내수 상담회, VC초청 투자상담회, 특허청 지시식재산권 상담회 개최로 녹색기업 내수판로 지원 및 기업 애로해소도 지원한다.
참가기업 연중 마케팅 활동 지원으로는 온라인 전시관 연중 운영으로 녹색기업 제품·기술 정보 제공, 잠재 거래 유도 등 홍보 강화와 온라인 매체(인스타, 유튜브 등) 활용한 벤처, 녹색인증, 환경신기술 인증기업 제품·기술 홍보콘텐츠 제작·배포로 등 중소환경기업 마케팅 서비스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부대행사로는 제19회 한·중 환경기업 기술협력교류회를 통하여 참가기업 13개사, 중국 의흥시 환경기업 6개사 상담 20건, 상담액 약 200억원 수주목표와 국내 중소환경기업 기술 발표 및 중국 환경기업과의 1:1 현장 상담도 진행한다.
또한 유엔산업개발기구 한국투자진흥사무소, 한국환경보전원이 주최하여 개발도상국 환경 분야 진출 B2G 자문 상담회를 통하여 참가기업 10개사, 개발도상국 환경 관련 공무원 15명이 참여하여 개발도상국 투자 기회 및 진출 관련 정보제공도 지원한다.
이외에도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구매상담회, 서울물재생시설공단 물산업 구매상담회, 서울시/경기도 공공기관 환경산업 상담회내수 구매상담회 및 수출상담회, 환경산업&탄소중립 VC 초청 투자상담회, 특허청 중소환경기업 지식재산권 상담 등 녹색산업의 정책 및 방향을 제시하는 다양한 상담회가 마련됐다.
동시 개최되는 행사로 ‘2025 글로벌 그린 허브 코리아(GGHK2025)’는 ) 환경 및 에너지 분야 부품, 기자재, 프로젝트 EPC를 소개하며 ‘2025년 통합환경관리 컨퍼런스’ 에서는 통합허가제도 관계기관 및 관련 종사자 등 1,000여 명이 참석하여 통합환경관리제도 관련 발표 및 업종별 간담회도 진행된다.
특히 해외 바이어 프로그램에서는 해외 바이어 80명, 참가기업 50개사 품목별 주요 참가기업 투어 후 바이어 별 관심 기업 워크인 현장 상담도 진행된다.
이날 개막식을 가진 ‘엔벡스 2025’는 환경산업 관련 기술 전시와 함께 약 45,000명 참관객과 무역상담액 4,400억원, 계약추진예정액 1,85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