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환경공단, 글로벌 최초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신속 성능평가체계 구축

글로벌 최초의 전기자동차 사용후 배터리 신속 성능평가체계 구축 발표
S/W를 활용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신속 성능평가방식 도입,평가 소요시간 기존 8시간에서 1시간 이내로 대폭 단축

  • Editor. 이은광 기자
  • 입력 2025.03.31 11: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설명)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31일 전국 4개 권역에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최초로 신속한 성능평가 기술의 개발 및 현장 적용으로 사용 후 배터리가 보다 빠르게 순환이용 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었다고 밝혔다.
▲사진설명)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31일 전국 4개 권역에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최초로 신속한 성능평가 기술의 개발 및 현장 적용으로 사용 후 배터리가 보다 빠르게 순환이용 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었다고 밝혔다.

[디지털비즈온 이은광 기자]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31일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신속·정확한 성능평가 체계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공단은 2022년 사용 후 배터리의 잔존수명(SOH)을 신속히 측정하기 위한 S/W방식의 기술개발을 시작해 2023년 기술 검증 및 실증을 거쳐, 지난해 11월 신속 성능평가를 위한 장비 도입을 완료해 글로벌 최초로 사용 후 배터리의 잔존 수명을 1시간 이내로 측정하고 있다.

한편 공단은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를 회수-보관-민간시장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의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를 2022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배터리 1대당 8시간이 소요되는 완전충방전 평가방식의 개선에 돌입해 신속·정확한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해 왔다.

공단이 개발에 성공한 1시간 이내 신속평가 기술은 사용 후 배터리의 BMS 데이터 분석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을 활용한 것으로 정확성이 가장 높은 완전충방전 대비 오차율은 약 2%에 불과하나 평가 소요 시간은 8배 단축 가능하다.

특히, 사용 후 배터리의 성능평가 등에 대한 법적 기준인 전기용품안전기준(KC10031)의 허용 오차 3%를 충족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 상태별 기술 실증에서도 허용오차 이내 기준을 충족해 사용후 배터리 유통시 매우 손쉽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단은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의 사용 후 배터리 민간공급 활성화를 위해 성능평가 이외 100V 이하 저용량 배터리의 잔존 수명 평가를 위한 장비를 도입했으며 이외 수입 차량의 사용 후 배터리 성능평가를 위한 장비도 지속 확대해 구축할 예정이다.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국내 전기차 보급 현황과 전기차 교체주기(약 10년)를 볼 때 올해부터 사용 후 배터리의 대량발생이 예상된다.”며, “민간시장에도 공단이 기술 개발한 신속 성능평가 방법을 보급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시장이 신성장산업 창출과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