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학교 김대종 교수, 한국경제인협회 방문 학생들과 함께“시장경제”중요성 강조

“기업이 일자리 90% 만든다”

2025-11-13     이현주 기자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 김대종 경영학과 교수가 11월 11일 학생들과 함께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경제인협회를 방문했다.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는 "11월 11일 김대종 경영학과 교수가 학생들과 함께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경제인협회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대학생들에게 시장경제의 원리와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직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대종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일자리의 90%는 기업이 만든다”며 “기업이야말로 나라의 근간이며, 정부와 국회는 기업이 더 많은 청년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교수는 “2025년 대학생 청년 취업률은 약 45%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노란봉투법, 주 4.5일제 등은 기업의 부담을 가중시켜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법인세를 21%에서 15%로 인하하며 전 세계 제조업 1위 국가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며, “한국도 미국 수준으로 법인세를 낮추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제4차 산업혁명 규제 완화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우버(Uber)만 허용해도 3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생길 수 있다”며, “한국은 현재 타다, 에어비앤비 등 신산업이 모두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포지티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해치지 않는 한 모든 분야에서 창업이 가능한 ‘네거티브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대종 교수는 “세종대학교는 시장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시장경제 원리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다”며, “국가와 기업을 위해 더 많이 일하고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국경제인협회는 기업가정신을 우리 사회 전반에 확산시켜 새로운 K-성장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더 많은 기업이 세계 무대에서 큰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대학 교육의 현장성을 강화하고, 학생들이 한국경제인협회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실질적 경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세종대학교는 앞으로도 학문과 산업 현장을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실무 역량과 진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