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 , 국내 최초 스마트 폐건전지 수거함 도입
광주광역시 북구청, 배터리자원순환협회…고품질 재활용품 수거 문화 확산 집중 한국폐배터리협회, EPR 시행 이후 공단 지원 백은성 국장 "내년도 자원순환정책 예산 집중" 박종호 본부장 "재활용 참여 보상과 자원 도움"
[디지털비즈온 이은광 기자] 2025년부터 폐건전지를 순수하게 자원화 하는데 집중하게 됐다. 환경부 소속 한국환경공단이 국내 최초로 스마트 폐건전지 수거함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한국환경공단 광주전남제주본부는 지난 23일 본부 회의실에서 광주광역시 북구청, 한국배터리자원순환협회와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공단측은 박종호 본부장, 이승주 자원순환관리처장, 박진철 제도운영부장, 김남영 차장, 광주광역시 북구청은 백은성 안전생활국장, 이용백 청소행정과장, 서혜린 자원순환팀장, 신민주 주무관이 참석했다. 한국배터리자원순환협회는 남상규 이사, 이시정 사무국장, 정용선 팀장이 자리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이들 단체는 폐건전지 수거에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끌어올려 함부로 버리지 않도록 하는데 뜻을 같이했다.
이번 3자 협약 핵심내용은 2025년도 일간 '스마트 폐건전지 수거함' 2대를 임차방식으로 운영한다.
특히 한국환경공단과 광주북구청, 배터리자원순환협회는 협약서에 근거한 폐건전지 수거 보상을 통해 고품질 재활용품 수거 문화 확산에 집중하게 된다.
광주광역시 북구는 폐건전지를 함부로 버리지 않도록 시민 홍보 및 수거 효율을 고려한 수거기기 설치 장소를 선정한다.
(사)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는 수거기기 보상용 새건전지 공급하고 폐건전지 적정처리 안내를 맡게 된다.
K-eco 한국환경공단은 국내 제조업체와 손을 잡고 대당 900만원의 제작지원으로 스마트 폐건전지 수거함을 현장에 투입한다.
스마트 폐건전지 수거함은 일반 자판기 형태로 다 쓴 건전지를 가져와 새건전지로 바꿔주는 시스템이다.
특히, 현장 보상지원측면에서 한발 더 나아가 포인트까지 적립돼 현금화가 가능하다.
K-eco는 국내 최초인 광주전남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지원체계 구축해 폐건전지 재활용수거의 효율화를 끌어올릴 방침이다.
이날 협약식에서 박종호 본부장은 "폐건전지 보상수거 경험을 통한 자원순환 시민의식 확산하는데 3자가 손을 잡았다."며 "앞으로 생활폐기물 처리에 대한 자원순환제도 운영기관의 역할을 확대하는데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박종호 본부장은 "시범사업이지만, 스마트화된 수거함은 정밀해서 재활용 참여하는 시민들에게 보상과 자원을 아끼는 마음과 아이들 환경교육 실천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은성 안전생활국장은 인사말에서 "북구청은 지난 3년간 폐건전지 수거를 위해 약 136만 톤을 수거했다."며 "앞으로 이렇게 협조해주시면 자원순환 쪽에서 폐건전지, 또 폐플라스틱까지 잘 수거해 순환자원 순환 체계가 우리 북구청에서 만큼 전국에서 제일 잘 나가는 행정기관으로 발돋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국배터리자원순환협회 남상규 이사는 "폐건전지 수거 활성화를 위해서 MOU 체결은 단순한 협약이 아닌 실생활에 환경 보호와 관리의 중요성을 전국민에게 인식시키기 위해서"라며 “협회는 환경 대책과 생태계 조성을 위해 아름다운 결실을 맺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협약식 이후 3자 기관은 공단본부 1층에 마련된 스마트 폐건전지 수거함을 살펴보고 직접 시연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