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주택용·소상공인 등 요금 동결 산업용은 일부 인상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동철)은 누적된 전기요금 인상 요인의 일부를 반영하고, 효율적 에너지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전기요금 조정방안을 발표였다 .
국제 연료가격 폭등 등의 영향으로 ’22년 이후 6차례 요금 인상과고강도 자구노력에도 ’21 ∼’24년 상반기 누적적자는 약 41조원(연결), ’24년 상반기 부채는 약 203조원(연결)에 달하여 재무부담 가중 대규모 적자로 차입금이 급증하여 하루 이자비용만 약 122억원 발생(’23년, 연결기준) 하였다.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미래 첨단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전력망 확충과 정전·고장 예방을 위한 필수 전력설비 유지·보수를 위해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며 또한, 효율적 에너지소비 유도와 안정적 전력수급을 위해서도 요금조정을 통한 가격신호 기능 회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이번 전기요금 조정은 그간 누적된 원가 상승요인을 반영하되, 물가, 서민경제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
서민경제 부담 등을 고려하여 주택용·일반용 등은 동결하고, 산업용 고객에 한정하여 ’24년 10월 24일부터 전력량 요금을 한 자릿수 인상률인 평균 9.7%를 인상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산업용 고객은 전체 고객의 1.7%(약 44만호), 전체 전력사용량의 53.2%를 차지 하고 대용량 고객인 산업용(을) 은 10.2% 인상, 경기침체에 따른 중소기업의 어려움 등을 감안하여 중소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산업용(갑) 은 5.2% 인상하기로 하였다.
한전은 누적적자 해소와 전력망 투자재원 마련을 위해 전기요금을 단계적으로 정상화 중임. 금번 요금조정을 기반으로 국민들께 약속한자구노력을 철저히 이행하여 경영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겠으며, 전력망 건설에 매진하여 국가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