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현실로 만드는 나노기술, 「나노한국 2024」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나노기술의 글로벌 트렌드 및 이슈를 조망하고 우수성과를 전시하는 「나노 코리아 2024」를 7월 3일(수)부터 7월 5일(금)까지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22회를 맞이하는 이번 행사는 국내 최대규모의 나노분야 연구자와 나노융합기업의 교류·협력의 장이자 세계 3대 나노 행사 중 하나이다.
이번 행사는 과기정통부 이창윤 제1차관, 산업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최수진 국회의원 등 주요인사 20여명이 참석하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킴벌리 부딜(Kimberly S. Budil) 소장과 삼성전자 송재혁 사장이 나노기술 혁신 방향에 대한 기조강연을 맡는다. 이후 3일 동안 국제심포지엄과 나노융합전시회를 진행한다.
국제 심포지움에서는 극한소재, 에너지, 바이오 등 16개 주요 기술 분야별 전문강연을 비롯한 주제강연, 포스터 세션, 협력 세션, 퍼블릭 세션 등 20여개의 세션을 통해 28개국 1,326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나노융합전시회는 나노를 중심으로 최신 소재·부품·장비 신기술을 망라한 대규모 합동 전시회로 삼성, 엘지(LG) 등 국내·외 356개 기업(기관)이 총 661개 부스에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바이오 등 다양한 응용분야의 나노융합 제품들을 전시한다.
이와 동시에 우수 나노기술 및 제품을 보유한 기업과 수요자를 연결하는 제품거래 상담회, 기업의 기술 애로 해소를 위한 기술교류회도 개최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나노기술 연구혁신과 나노융합산업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 및 기업(인)에 대해 포상한다.
연구분야에서는 ‘나노촉매의 속도론적 해석을 통한 태양광/재생전기 유도 실내 조리흄 정화기술 개발’ 등의 성과를 도출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김우열 교수가,
산업기술분야는 ‘반도체 생산의 필수 검사 장치인 프로브 카브’를 출품한 ㈜마이크로투나노가 각각 국무총리상을 수상한다. 그 밖에 과기부 장관상(6점)과 산업부 장관상(6점)도 수여한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제1차관은 “지금 세계는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경쟁을 시작으로 첨단 기술이 국가 안보까지 영향력을 미치는 글로벌 기술패권 시대로서, 나노기술이 싹트기 시작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를 넘어서 전 산업 분야로 혁신을 확산해야하는 중요한 시점이다.”라며
“이에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10년 뒤 미래를 혁신하는 새로운 나노 혁신 기술을 발굴하고, 나노기술 생태계 전반을 재조망하는 이른바 (가칭)나노2.0 기술 혁신 전략을 수립하여 중점적으로 육성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산업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나노인들의 도전과 혁신을 격려함과 동시에 “나노융합기술이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함에 따라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고 평가하며, “나노소재를 중심으로 나노융합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핵심기술 확보와 더불어 기업성장 지원 및 생태계 조성 등 다방면으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나노코리아 2024 행사」참여는 사전등록 또는 현장등록 후 가능하며, 방문객 이동 편의를 위해 행사 기간 중 서울역에서 행사장으로 셔틀버스가 편도 4회 운영될 예정이다. 행사별 세부 일정, 전시 참여기업, 셔틀버스 시간표 등 보다 자세한 내용은 「나노코리아 2024」 공식 누리집(https://nanokore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